'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949건

  1. 2007.01.09 광복운동-일제패망
  2. 2007.01.09 일제하의 공산주의
  3. 2007.01.09 독립문
  4. 2007.01.09 삶과 죽음
2007. 1. 9. 21:38
해외이주
(동아일보사, 사진으로 보는 한국백년, 1978, 259)
1930년대 말엽, 만주의 한국인은 100만명이 넘었다. 이 숫자의 절반이 정주한 간도 지방은 항일 빨치산의 근거지이며, 독립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조선광복회와 보천보
(한길사,한국사-16, 1994, 46 )
오른쪽 - 보천보 전투를 보도한 {동아일보} 1937년 6월 5일자 호외.
왼쪽 - 재만 한국인 조국광복회의 지하공작원들.
조선의용대(1938)
(한겨레신문사, 발굴한국현대사인물 3, 1992, 167)
1939년 10월 10일 중국 광서 장족 자치구(광서성) 계림에서 찍은 조선의용대 창립 한 돌 기념사진. 가운뎃줄 왼쪽에서 열번째가 약산 김원봉. 오른쪽 위는 조선의용대 명찰.
중일전쟁이 한창인 1938년 10월 10일, 한구(漢口)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의 무장부대로 조선의용대가 창설되어 대장에 김원봉, 부대장에 신악이 취임했다. 조선의용대는 약 300여 명의 대원이 3개 지대와 부녀대, 3.1소년단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조선민족전선연맹은 조선민족혁명당(김원봉), 조선민족해방운동자동맹(김성숙 등). 조선혁명자연맹(유자명, 유림), 조선청년전위동맹의 연합체였다.
광복군 (1940)
(서문당, 사진으로 보는 독립운동 하, 1987, 136)
1940년 9월 17일, 중경 '가능빈관'에서 개최된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성립 전례. 단상에 임정 김구 국무령과 김학규 총사령부 참모. 백범의 주례사, 선언문 낭독, 조소앙의 경과보고, 홍진.조완구의 축사, 중국요인의 격려사.축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일제항복
(서문당, 사진으로 보는 독립운동 하, 1987, 182)
1945년 9월 2일, 도쿄만에 정막한 '미조리'함상에서 연합군 총사령과 맥아더 장군이 지켜보는 가운데 항복문서에 서명하는 일본 대표.

'1930-4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 시대의 풍물  (0) 2007.01.10
잊혀진 영웅들  (0) 2007.01.10
일제하의 공산주의  (0) 2007.01.09
일제강점기  (0) 2007.01.09
서울남산의 일본신사  (0) 2007.01.09
Posted by qlstnfp
2007. 1. 9. 21:33
원산총파업(1929.1-4)
(한길사,한국사-15, 1994, 40)
오른쪽 - 원산부도노동자 대파업 광경.
왼쪽 - 원산노동연합위원장의 수감기사를 실은 {조선일보} 1929년 2월 11일자 기사.
1929년 1월에서 4월에 걸쳐 원산의 노동자 3천여명이 군대와 경찰의 탄압을 둟고 3개월에 이르는 동맹파업을 감행하였다.
한 석유회사의 일본인 감독의 횡포에 대한 규탄으로 발단된 이 동맹파업은, 임금인상, 8시간 노동제 등의 요구를 내걸고, 원산 시민들까지 가담한 투쟁이 되었다. 소련, 중국, 프랑스의 노동자들로부터 지지도 받았다.
을밀대에서 농성하는 강주룡(1931)
(역사학연구소, 우리역사를 찾아서 3, 심지, 1994, 119)
1931년 5월 16일 평양 선교리에 있는 평원고무공장 노동자들은 회사 쪽의 일방적인 임금인하 통고에 대응하여 파업을 시작하였다. 5월 28일 노동자들은 단식투쟁을 결의하였으나 일본 경찰의 폭력에 의해 회사 밖으로 쫓겨났다. 밤 11시, 회사에서 쫓겨난 강주룡은 밤새 광목을 마련하였다. 광목을 찢어 줄을 만들고 을밀대 누각에 던져 걸치고 줄타기를 해서 12미터 높이 을밀대 지붕 위로 올라가 농성을 시작하였다. 그는 일제가 벌이고 있는 노동자들의 착취와 수탈을 고발하면서 9시간 반 동안이나 외치고 외쳤다. 평양서로 끌려간 강주룡은 76시간 동안 단식으로 대항하다 검속기간 만료로 일단 풀려났다. 평원공장 파업이 전국적인 관심사로 떠오를 때 평양서는 '정달헌 중심의 당조직사건'을 발표하고, 강주룡은 6월 9일 동료 노동자 최용덕과 함께 검거되었다. 강주룡은 또 다시 옥중단식을 벌인 뒤 '극심한 정신쇠약과 소화불량' 증세로 보석되었다가 8월 13일 평양 서성리 빈민굴에서 숨졌다. 그의 나이 31살이었다.
경남 적색교원노동협의회사건(1933)
(최인진, 한국신문사진사, 열화당, 1992, 193)
경남 적색교원노동협의회 사건에 관한 {동아일보} 1933년 12월 12일자 본지 부재록(不再錄) 호외. 적색교원노동협의회 사건으로 검찰에 송치된 열아홉 명의 인물사진을 전부 삭제했다. 많은 인물사진을 삭제한 경우의 하나이다.
브나로드 운동
(한길사,한국사-15, 1994, 43)
민족주의 우파 계열이었던 동아일보는 1931년 7월부터 방학을 이용하여 '문맹'과 '비위생적인 상태'에 있는 농민을 계몽한다는 목표로 '배우자, 가르키자, 다 함께'라는 기치를 내걸고 브나로드운동을 전개했다. 브나로드운동은 1934년까지 계속되었다.
혁명적 농민운동
(한길사,한국사-15, 1994, 44)
함경도 단천과 명천의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을 보도한 신문기사.
해방전후 공산주의 운동의 지도자들
(정병준, 몽양 여운형 평전, 한울, 1995, 중간 사진)
1930년대 초.중반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한 해방전후 공산주의운동의 지도자들.
왼쪽부터 조선공산당재건운동의 신화적 인물인 이재유, 경성콩그룹.조선공산당.남조선노동당의 지도자 박헌영, 해방직후 초기 북한공산주의운동의 지도자 현준혁, 남조선노동당 위원장 허헌, 남로당의 2인자 이승엽.
이재유
(김경일, 이재유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3)
이재유의 체포를 대서특필한 경성일보 1937년 4월 30일자 호외.
간도공산당 사건(1938)
(전민조, 이한장의 사진, 행림출판, 1994, 17, 문치장 촬영)
1938년 12월 20일 간도 공산당 사건으로 압송되는 사회주의자들. 경성지방법원 대법정 앞. 하나같이 머리에 용수가 씌워져 있다.

'1930-4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잊혀진 영웅들  (0) 2007.01.10
광복운동-일제패망  (0) 2007.01.09
일제강점기  (0) 2007.01.09
서울남산의 일본신사  (0) 2007.01.09
대한민국 임시정부  (0) 2007.01.09
Posted by qlstnfp
2007. 1. 9. 21:09













독립문(1897)
(한길사,한국사-11, 1994, 11)
독립협회가 주관하여 1896년 11월 21일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기공하여 1897년 11월 20일 준공하였다. 1904년 당시의 모습이다.

'1900년 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교의 전래  (0) 2007.01.10
단원의 풍속도  (0) 2007.01.10
진찬진연도(進饌·進宴圖)  (1) 2007.01.09
우리 사진의 역사  (0) 2007.01.09
아관파천  (0) 2007.01.09
Posted by qlstnfp
2007. 1. 9. 04:44
사진으로 보는 한국 전쟁 삶과 죽음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입니다.
날짜와 장소는 사진 뒷면에 있는 영어 원문을 따랐고, 사진 설명은 원문을 참조하여
오마이뉴스 박도기자가 가다듬었습니다.
이 사진이 기록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자료로 남기를 바랍니다. 생사가 교차되는 전선에서 귀한 사진을 남긴 카메라맨들에게 경의를 드립니다..
<오마이뉴스 박도기자 주>


▲ 1951. 10. 21. 평양. 살기 위해 태극기를 들고 살려달라고 애걸하고 있다.


▲ 1951. 4. 4. 홍성, 수로에 널브러진 유엔군 시신들.


▲ 1951.1. 4. 공산군의 시신들.


▲ 1951. 5. 25. 길바닥에 나뒹구는 중공군 시신.


▲ 1950. 7. 5. 한 국군 용사의 무덤.


▲ 1958. 5. 28. 무명 용사의 시신을 본국으로 보내는 미군.


▲ 1950. 7. 5. 국군 헌병이 북한군을 생포하다.

-오마이뉴스 박도 기자 미국 현지 보도 2004.4.27-

'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rean War ( Trouble on the horizon ) 1/15  (0) 2009.01.28
Korean Winter: Korean War 1952-1953  (0) 2009.01.28
한국전쟁  (0) 2007.01.09
전쟁.......  (0) 2007.01.03
전쟁...  (0) 2007.01.03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