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949건
짐승들에게는 동시에 새끼를 낳아 기르는 어미는 있어도 인간과 같은 아버지의 존재는 없다.
낳고 젖주는 어미만 문제되고 애비가 누구인지는 문제 삼지 않는다.
다만 인간들이 순종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그 애비를 문제 삼는다. 과문한 탓인지 몰라도 인간 사회와 같은 친생부존재 확인 같은것은 없는 것 같다.
"아비 없는 홀 애자식"이란 말도 없다.
아버지란 제도는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이어령은 말한다.
'아버지는 사회의 기초인 가정이란 토대를 만들기위하여 법과 제도에 의해서만 그 지위가 확보되는 문화 사회의 허구적 존재'라고
아버지의 권위가 무너지면사회의 토대인 가정이 존재할 수 없고 결국은 이 사회도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아버지를 돈벌어 가족을 부양해야만 하는 사람, 씨를 뿌리는 자, 여자를 성적으로 만족 시켜 주는 존재라고만 생각하면
개인차 있겠지만 평균적으로 50이 넘은 남정네는 차례로 모두 우주로 날려 보내야 한다. 아니 비용이 많이드니 돌멩이 메달아 태평양 한가운데 버리면 될 것이다. 아니 폐광 구덩이에....
아버지의 권위 붕괴는
남성의 위기만이 아니라 가족 전체에 보내지는 붕괴의 메시지이며 인간의 퇴행은 동물이 아니라 동물 이하의 존재가 된다는 인류 전체를 향한 경고의 신호인 것이다.
그러나 남정네들이어
지난 세월 뼈빠지게 너희들 먹여 살리느라 애썼다고 푸념하지 맙시다.
우리를 조롱하는 그들도 결국은 우리의 존재가치를 알게 될 것입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아쉬운 것은 그 때는 우리는 이세상 사람이 아닐 것입니다. 그 것이 롯도가 연속 10회 당첨되어야 할 이유 입니다.
'그저 그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에 나눗셈-뺄셈만으로 제곱근 풀었다 (0) | 2007.03.02 |
---|---|
외국인이 본 한국의 추억 (0) | 2007.02.20 |
아버지 신세 (0) | 2007.02.18 |
욕하지 마세요. (1) | 2007.02.13 |
堯舜時代가 되는 길 (0) | 2007.02.09 |
아버지의 권력 상실 시대다.
한때 헛기침 소리만으로도 집안을 긴장시켰던 절대권력자가 이제는 우스개거리로 전락했다
"나이 먹은 여자한테 꼭 필요한 네 가지가 뭔지 아니?
첫째가 건강, 둘째가 돈, 셋째가 친구, 넷째가 딸이란다."
"그럼 가장 필요 없는 한 가지는? 바로 남편! 귀찮기만 하지 쓸 데가 없잖아."
"맞아. 그래서 요즘 안 쓰는 물건 내다놓으라고 하면 늙은 남편 내놓는단다."
요즘 남자들이 가장 무서워하는 건 아내가 해외여행 가자는 것과 이사 가자는 것이란다. 외국 나가서 버리고 올까봐, 이사 갈 때 안 데리고 갈까봐 겁이 나서란다. "그래서 요즘 남편들 이사 갈 때 따라가려면 강아지라도 안고 있어야 한다잖니."
아버지는 말한다.
"나는 집에서 강아지보다 못한 존재"
외출하고 돌아온 아내가 강아지에게는 "밥 먹었느냐"고 물으면서 자신에게는 말 한마디 없다.고
외환위기 이후 조기 퇴직 붐과 맞물려 불거졌던 '고개 숙인 아버지' 현상과는 다른 차원이다. 이제는 돈을 버는 가장까지 의사결정권을 잃었다. 이사와 재테크 등 집안 대소사를 모두 아내가 결정한다. 경제력은 있어도 경제권은 없는 셈이다. 아이들 교육 문제에 들어가면 발언권마저 잃는다.
이 세상에서
이나라 만큼 아버지가 살기 어려운 나라가 또 있을까?
'그저 그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이 본 한국의 추억 (0) | 2007.02.20 |
---|---|
아버지 신세 2 (0) | 2007.02.18 |
욕하지 마세요. (1) | 2007.02.13 |
堯舜時代가 되는 길 (0) | 2007.02.09 |
담배 이야기 (0) | 2007.02.09 |
융희학교 1회 졸업식
융희학교 1회 졸업생 1909년 유길준과 오세창이 설립한 융희학교의 1회 졸업기념사진.
유길준은 ‘우수한 교사를 통해 우수한 교육을 보급함으로써 문맹을 퇴치’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었다.
대한제국 말기의 개화사상가
. 유길준은 1870년경부터 실학에 조예가 깊었던 박규수의 문하에 들어가 공부했다. 1881년 신사유람단 견미사절단의 수행원으로 일본과 미국을 방문했고, 근대 한국 최초로 일본과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했다. 1885년 12월에 귀국한 후 7년간 연금되었다가 1892년에야 석방되었다. 이 기간 중 미국에서 유학한 경험을 바탕으로 ‘서유견문’을 집필했다. 그는 ‘서유견문’을 통해 서양 문명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개혁의 구상을 제시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1907년에는 한일신협약이 체결되자 이에 완강히 반대했으며, 1907년에는 흥사단 등을 통해 교육 사업을 벌였다.
1914년 9월 30일 타계했다.
'중등교과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90 대기대요 (0) | 2007.03.18 |
---|---|
대한문전(大韓文典) (0) | 2007.03.17 |
우리말 지키기 (0) | 2007.01.25 |
근대의 교육운동 (0) | 2007.01.09 |
1916년 영화학당 1학년 수업 광경. (0) | 2007.01.03 |
뛰어난 사람일수록 잘못이 많다
뛰어난 사람일수록 잘못이 많다.
그만큼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 때문이다.
한 번도 잘못을 해 본 적이 없는 사람,
그것도 큰 잘못을 저질러 본 적이 없는 사람을
윗자리에 앉게 해서는 안 된다.
잘못을 저질러 본 적이 없는 사람은
평범한 사람이다.
그 때문에 어떻게 잘못을 발견하며
어떻게 조기에 고칠 수 있는가를 알지 못한다.
- 피터 드러커-
흠이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남의 흠을 헤집어 침소봉대?하는 사람
그대를 거울에 비추어 보소서
미움과 질시의 안경을 벗고....
상황의 부정적인 면만을 꼬집는 사람
병에 걸리더라도 절대 약은 먹지 마소서
독도 섞여 있으니까
도둑질을 많이 해본 사람이
도둑의 마음을 안다.
'그저 그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 신세 2 (0) | 2007.02.18 |
---|---|
아버지 신세 (0) | 2007.02.18 |
堯舜時代가 되는 길 (0) | 2007.02.09 |
담배 이야기 (0) | 2007.02.09 |
정약용이 언론인에 하는 말 (0) | 2007.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