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탁호텔(Sontag Hotel)은 대한제국 한성부 정동(오늘날의 서울의 정동)에 1902년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서양식 호텔이다. 고종이 덕수궁 옆(오늘날의 이화여자고등학교 100주년 기념관 근처)에 있는 1,184평에 달하는 황실 소유의 가옥 및 토지를 하사하고, 25개의 객실을 갖춘 2층짜리 호텔을 지은 뒤, 당시 한성에 체류하던 독일인인 안토니트 존탁에게 운영을 맡겼기 때문에, 호텔 지배인인 그녀의 한국어식 이름을 따서 손탁 호텔이라고 불렀다. 달리 손탁양저 또는 손탁빈관, 한성빈관이라고도 불렸다.
호텔의 1층에는 서울 최초의 커피숍이 있었는데, 서울에 체류하던 서양인들이 자주 찾는 곳이었다. 영국의 총리였던 윈스턴 처칠도 한국을 방문하였을 때 이 호텔에 묶었고, 《톰 소여의 모험》를 집필했던 미국의 소설가인 마크 트웨인도 이 호텔에 묵은 적이 있다. 그리고, 이토 히로부미도 이 호텔에 투숙하여 조선의 대신들을 호텔로 초청하여 만났다
원래의 건물은1923년에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 새 건물이 들어섰다. 이 건물은 한국 전쟁 당시에 서울에 가해진 폭격으로 소실되고, 현재는 손탁호텔이 위치해 있었음을 보여주는 비석만 남아있다.
주독 한국문화원 발행 '한국문화' 잡지 게재 사진(오른쪽 두번째 손탁, 베를린·레겐스부르크=연합뉴스)
손탁은 고종이 재위하던 시기인 1896∼1909년 황실전례관(Hofzeremonienmeisterin)으로 일했다.
직함이 말해주듯 황실 음식과 의전을 챙기는 게 공식 업무였지만, 외국 고위 사절과 조선 황실의 가교 역할을 하며 배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사료는 전한다.
열강이 조선 반도를 유린하며 각축하던 시기, 아관파천이라는 대사건은 당시 러시아 공사에서 근무하던 손탁을, 고종이 환궁 후 전례관으로 발탁하게 된 직접적 계기였다.
고종에게 커피 맛을 알게 해 줬다는 에피소드가 흥미롭게 회자되는 손탁은 고종, 아니 조선 황실에 은인 같은 존재로도 비쳐졌다.
그런 그녀의 당대 행적은 대부분 잘 알려져 있지만, 1909년 전례관을 그만 두고 조선 반도를 떠난 이후 여생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했다.
고종이 하사한 땅에 지은 '손탁호텔'로도 유명한 그녀가 전 재산을 러시아에 투자했다가 몽땅 날리고 객사했다거나 1922년이 아니라 1925년 사망했다는 등속의 낭설이 끊이지 않은 것은 그만큼 사실관계에 관한 다툼이 많았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손탁의 추천으로 1905∼1906년 1년 동안 조선 황실의 외교전례를 담당했던 독일여성 엠마 크뢰벨의 저서 『나는 어떻게 조선 황실에 오게 되었나(Wie ich an den koreanischen Kaiserhof kam)』(엠마 크뢰벨 저)의 번역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손탁이 프랑스 칸에서 편안하게 생을 마감했음이 밝혀졌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9/14/0200000000AKR20150914203000082.HTML
구한말 훈련대
구한말 대한제국 훈련대 병사들의 집총 훈련 광경 사진으로 미국 언더우드사에서 제작한 스테레오뷰 사진이다. 궁궐안에 자리한 시위대(侍衛隊) 병사들로 보인다.
1897년에 성립된 대한제국은 서구 열강의 침탈에 맞서기 위해 자체적인 국방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새롭게 군복식을 제정하고, 외국에서 신식 화기와 장비를 도입하여 신식 군대를 양성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한제국의 이러한 시도도 열강들의 침략을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한제국의 시위대는 1897년 1월 1개 대대로 창설되어 각개훈련, 소총조작법, 제식훈련, 총기 분해결합, 사격술 등 러시아식의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1898년 5월 시위연대로, 1902년 10월에는 2개 연대로 증편되었으나 1905년 4월 다시 시위보병 1개 연대로 감축되었고, 1907년에는 1개 대대만을 남기고 모두 해산되었다.
성공의 비결
▷참 간단하고 다 아는 소리다. 그런데 왜 누구는 성공하고, 누구는 자신을 몰라주는 세상만 원망할까. ‘오프라 윈프리 쇼’에 닥터 필이라는 이름으로 종종 등장하는 임상심리학자 필립 맥그로 박사는 “바로 당신이 문제”라고 했다. 사람들은 크게는 아니어도 남부럽지 않게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을 대체로 안다. 그러면서도 실행하지 않고 남 탓만 한다는 거다.
▷미국이니까 가능한 성공법이라고 할 수도 있다. 열심히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아메리칸 드림’은 ‘성공할 때까지 기회를 준다’는 사회적 약속이기도 하다. 대학입시에선 수학능력시험(SAT)을 몇 차례 봤다가 제일 좋은 점수를 낼 수 있고, 비즈니스 진입과 퇴출도 복잡하지 않아 실패가 덜 두렵다. 우리나라도 미국 못지않게 성공 열망이 끓는 사람으로 넘치지만 패자에 대한 배려는 한참 못 미친다. 억울함이 쌓여 남의 성공이 ‘기회주의자의 득세’로 보이는 걸까.
▷미국의 카토연구소는 최근 “역시 문화가 문제”라는 글을 온라인 잡지에 실었다. 한국을 포함한 25개국을 3년간 연구한 결과다. 평등보다 경쟁을, 연고(緣故)보다 실력을, 변화에 저항하기보다 적응을 북돋는 문화가 성공을 키운다는 사실이 분명하다고 했다. 문화를 바꾸기는 쉽지 않지만 정치는 인센티브를 통해 이를 바꿀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결국 정치가 문제라는 결론은 ‘남 탓’ 같아서 개운치 않다. 아무래도 2007년에는 성공을 위해 나 자신 바꾸기와 정치 바꾸기를 동시에 추구해야 할 것 같다.
김순덕 논설위원 yuri@donga.com
사람은 죽을 때가 되면
지내온 일생을 회고하면서
보편적으로 세 가지를 후회한다고 합니다.
첫째 '베풀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
가난하게 산 사람이든 부유하게 산 사람이든 죽을 때가 되면
'좀 더 주면서 살 수 있었는데..' 이렇게 긁어 모으고,
움켜 쥐어봐도 별 것 아니었는데
왜 좀 더 나누어 주지 못했고 베풀며 살지 못했을까?
참 어리석게 살았구나 이런 생각이 자꾸 나서
이것이 가장 큰 후회랍니다.
둘째 '참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
그 때 내가 조금만 더 참았더라면 좋았을 걸,
왜 쓸데없는 말을 하고, 쓸데없이 행동했던가? 하고
후회한다고 합니다.
당시에는 내가 옳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고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지나고 보니 좀 더 참을 수 있었고,
좀 더 여유를 가지고 참았더라면 내 인생이 좀 달라졌을텐데
참지 못해서 일을 그르친 것이
후회가 된다는 것입니다.
셋째 '좀 더 행복하게 살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
왜 그렇게 빡빡하고 재미없게 살았던가?
왜그렇게 짜증스럽고 힘겹고 어리석게 살았던가?
얼마든지 기쁘고 즐겁게 살 수 있었는데.. 하며
복되게 살지 못한 것에 대해서 후회하며
또한 이러한 나로 인하여 다른 사람들을
힘들게 한 삶을 살았던 것에 대해서
후회한다고 합니다.
아름다운 이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아름다웠다고 말할 수 있을런지요...
빈 손..빈 가슴으로 웃으면서 갈 수 있을런지요...
'그저 그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명나는 세상의 조건 (0) | 2006.12.29 |
---|---|
성공의 비결 (0) | 2006.12.27 |
아름다운 삶 (0) | 2006.12.27 |
이것이 인생 (0) | 2006.12.27 |
세상에서 제일 훌륭한 연극 (0) | 2006.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