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5. 3. 21:33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22654/sizes/l/in/set-72157622658973877/


1904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12550/in/set-72157622658973877

1904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63713/in/set-72157622658973877/


The main gate of 'Toksugung' (Palace of Virtuous Long Life), 'Taeanmun'. Obviously, a dignitary (perhaps the king of Korea himself) is just being carried into the city in the palanquin to the left. The carriers of the palanquin are noticeably Korean.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74967/in/set-72157622658973877/

1904 Celebrations surrounding the first train crossing of a newly constructed Japanese bridge.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62867/in/set-72157622658973877/


1904 Japanese Bridge--timber scaffolding for steel structure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70831/in/set-72157622658973877/

1904 Japanese soldier and Koreans on train car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25626/in/set-72157622658973877/


1904 Korean dance performance with Japanese and foreign dignitaries as audience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25792/in/set-72157622658973877/

1904 Locomotive on bridge over streetcar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27652/in/set-72157622658973877/


1904 General Kuroki and his staff at Seoul

A large group of ciivilian and military dignitaries has gathered at the pavilion 'Chuhapru', a part of the Royal 'Changdokkung' (Palace) in Seoul

The occasion is unknown, although - judging from the presence of western, Japanese and Korean dignitaries - it must have been a significant event. Unfortunately, the photograph is not annotated.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65857/in/set-72157622658973877/


Four small Korean children with a group of dignitaries pose for the photographer. Two Korean flags behind them are displayed at 'Chuhapru', at 'Changdokkung' (Palace). Chuhapru,

On the left side of the picture, Japanese soldiers are lined up on the lower ground. The occasion is unknown.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26480/in/set-72157622658973877/

Three Japanese soldiers guarding a place that is presumably a very important tomb with a modern style monument. The exact location is unknown.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71339/in/set-72157622658973877/

: 'Despite the declaration of neutrality by the Choson Government (Yi dynasty), Japanese troops began landing on Inchon city and marched into the capital, Seoul. They are shown here transporting ammunition through the Independence Gate.' This picture was published in the source below, and may not have been taken by Straight himself. Source: Source: Sajin uiro ponun tongnip undong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Pictures), 1996, v. 1, p. 51.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32814/in/set-72157622658973877/

Lots of Japanese soldiers march into Seoul and some civilians (clad in Japanese kimono) are seen in front of the picture. It depicts a very significant occasion. The building at the background is identified as 'Myongdong Songdang' ( Myongdong Cathedral). The stone cathedral, designed by French priest Jorge Coste in 1892, was built in 1898. Myongdong Cathedral is where Kim Bum-woo, a Chinese interpreter, organized Catholic meetings in the 1780s with Lee Seung-hun, the first Korean baptized Catholic. In the underground section of the church are buried foreign and Korean priests who died in the persecution of Catholics by the Chosun Kingdom during the 1800s. Source for the Cathedral: www.hankooki.com/kt_culture/200206/t2002061516554346110.htm (viewed May 31, 2003)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33396/in/set-72157622658973877/

Japanese soldiers are seen in Seoul. The building at the background is identified as 'Myongdong Songdang' (Myongdong Cathedral).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34964/in/set-72157622658973877/

This picture depicts an elaborate and large scale banquet. Numerous wine bottles and lunch boxes are ready for the guests. We assume that this banquet was held on the grounds of a buddhist temple (a large Buddha statue can be seen in the back to the left).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34260/in/set-72157622658973877/


1904 Japanese soldiers and Korean civilians at Shariin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63223/in/set-72157622658973877/

Japanese army at the main get of Toksu Palace, Taeanmun


The main gate of 'Toksugung' (Palace of Virtuous Long Life), 'Taeanmun'. Obviously, a dignitary (perhaps the king of Korea himself) is just being carried into the city in the palanquin to the left. The carriers of the palanquin are noticeably Korean. There is a Japanese band in the background, and Japanese troops are at attention. Originally named 'Taeanmun', this main gate to the palace faced south. Later, it was moved to face the east and burnt down in 1904. Rebuilt in 1906, its name was changed to 'Taehanmun'. The three Chinese characters for 'Taehanmun' were written by Nam Chongchol, the Mayor of Seoul. Source: www.lifeinkorea.com/Travel2/65 (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29004/in/set-72157622658973877/

'Souvenir picture of Japanese dignitaries including General Ito congratulating the signing of the Protectorate Treaty which was being met right at this moment with severe protest from both government officials and grass roots at the front gate of Toksugung (Toksu Palace).' Source: Sajin uiro ponun tongnip undong, 1996, v.1, p. 59.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35142/in/set-72157622658973877/


Japanese Consulate

Probably the Japanese Consulate located in 'Namsan', Seoul. It was the official building of the Japanese consul until General Ito proceeded to the post of Resident-General in 1906.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69093/in/set-72157622658973877/


1905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18092/sizes/l/in/set-72157622658973877/


Execution of 3 Korean 1905

Three resistance fighters facing a Japanese firing squad. They are accused of spying and executed. According to the source cited below, they were charged with destroying the Seoul-Pusan railroad two days after its completion, on January 1, 1905. This is a rather well-known image which was also reproduced in Western newspapers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61259/in/set-72157622658973877/

Posted by qlstnfp
2011. 5. 3. 21:19



Paddock, Gordon (1865-1932)

was appointed Secretary of the American Legation in Seoul in 1901, as well as Vice and Deputy Consul General; he became Consul General in 1902. When the Legation closed in November 1905, his duties as Secretary ceased, and the following year he was appointed Vice Consul General. In 1909 he went to Manchuria as Vice and Deputy Consul, first in Harbin and then in Mukden (now Shenyang). In 1910 he began diplomatic service in Persia, as Consul in Tabriz, and then in Tehran. Paddock received commendations for his efforts to protect foreign nationals in Tabriz from a succession of invading troops during WWI and its aftermath. He was assigned to Belgrade in 1922, and to Copenhagen as First Secretary of the American Legation. His final post was as First Secretary of the American Embassy in Paris in 1930, from which he retired later that year. The women standing to his left could be Paddock's wife, although this is unconfirmed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30130/

Willard Straight, Edwin Morgan and Gordon Paddock

Gordon Paddock (pictured in the second row in the middle) and Senator Newlands (second row, towards the right) and his party are shown here with a group of Korean scholars and female entertainers.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23010/

Group of Koreans with Gordon Paddock, Edwin Morgan and Willard Straight


Gordon Paddock, Edwin Morgan and Willard Straight seated in the second in a group that appears to be the Korean personnel of the US Consulate in Seoul. The building is located in the background.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66465/in/set-72157622658973877/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56983/sizes/l/in/set-72157622658973877/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6123740/sizes/l/in/set-72157622658973877/


Gordon Paddock's house, Seoul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70037/


Gordon Paddock, Alice Roosevelt, Nick Longworth, in front of the Legation at Seoul. Alice Roosevelt's party travelled to the Far East and visited Korea in August 1905.
http://www.flickr.com/photos/cornelluniversitylibrary/4095353433/

Posted by qlstnfp
2011. 5. 1. 13:24

고종, 자기 날개 자르는 줄도 모르고 개화파 제거


개국군주 망국군주 고종⑥ 갑신정변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위로부터의 개혁은 아래로부터의 혁명 못지않게 힘들다. 상부구조에 속해 있는 사람들은 변화보다는 현상 유지를 바라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위로부터의 개혁 의지에 아래로부터의 변화의 열정이 결합되면 사회는 수많은 과제를 단번에 해결하는 질적인 변화를 이룬다. 갑신정변 주모자들은 그런 꿈을 꾸었으나 고종은 그런 변화를 원하지 않았다.


우정총국 건물 서울 종로구 견지동에 있으며 그 옆에 조계사가 있다. 개화당은 한국 최초의 우편행정기관인 우정총국의 낙성식 연회를 정변의 계기로 삼았다. 사진가 권태균


개국군주 망국군주 고종⑥ 갑신정변


김옥균(金玉均)은 고종의 명으로 일본 시찰 중에 임오군란(1882) 소식을 듣고 서광범(徐光範) 등과 함께 급거 귀국했다. 김옥균은 사쓰마(薩摩)와 조슈(長州)번 출신의 요시다 쇼인(吉田松陰)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등이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을 일으켜 일본을 근대국가의 길로 이끈 것이 불과 14년 전(1868)이라는 사실에 주목했다. 고종은 임오군란 직후 철종의 부마 금릉위(錦陵尉) 박영효(朴泳孝)를 수신사(修信使)로 삼아 일본에 파견했는데, 김옥균도 동행했고, 민비의 조카로 정권 실세였던 참판 민영익(閔泳翊)도 함께했다.





김옥균 묘지

일본 도쿄 아오야마 공원묘지 외국인 묘역에 있다. 일본인들은 망명한 김옥균을 냉대하다가 그가 홍종우에게 암살당하자 머리카락과 의복 일부를 가지고 묘소를 만들었다.

박영효는 기행문 사화기략(使和記略)에서 효고현(兵庫縣)에 도착해 “새로 만든 국기를 묵고 있는 누각에 달았다”고 밝히고 있는데, 태극기를 달았다는 사실은 개화사상의 영향을 받았다는 뜻이었다. 조선 개화파의 비조(鼻祖)는 중인 출신 역관 오경석(吳慶錫)이었다. 오경석은 병인양요(1866) 때 청나라 예부상서 만청려(萬靑藜) 등을 통해 습득한 프랑스군과 청나라의 동태를 대원군에게 밀보(密報)해 큰 신임을 얻었다. 하지만 신미양요(1871) 때 대원군에게 ‘도저히 외교를 열지 않을 수 없는 소이’를 설명했다가 버림을 받고 말았다.


이후 오경석은 “먼저 북촌(北村: 서울의 양반 사대부 거주지)의 양반 자제 중에서 인재를 구하여 혁신의 기운을 일으켜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연암 박지원의 손자 박규수(朴珪壽)를 설득했다. 훗날 박영효가 이광수에게 “그 신사상은 내 일가 박규수 집 사랑에서 나왔소. 김옥균·홍영식·서광범 그리고 내 백형(박영교)하고 재동 박규수 집 사랑에 모였지요(이광수, 박영효 씨를 만난 이야기)”라고 말한 것처럼 박규수의 사랑방은 양반 출신 청년 개화파를 양성하는 정치학교가 되었다. 박규수 사망 후 개화파는 급진 개화파와 온건 개화파로 나뉘는데 온건 개화파는 김홍집(金弘集)·김윤식(金允植)·어윤중(魚允中) 등이고, 급진 개화파는 김옥균·박영효· 홍영식(洪英植)·박영교(朴泳敎)·서광범 등이었다. 온건 개화파는 동양의 정신세계에 서양의 과학기술을 접목시키자는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을 주창했다.




서광범 사진

서광범은 갑신정변 실패 후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망명했다가 갑오개혁 때 학부대신에 임명되었으나 지병으로 사망했다.

그러나 서재필(徐載弼)이 ‘그(김옥균)는 늘 우리에게 일본이 동방의 영국 노릇을 하려 하니 우리는 아시아의 불란서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는데 이것이 그의 꿈이었고 유일한 야심이었다(서재필, 회고 갑신정변)”라고 말한 것처럼 김옥균은 조선 체제를 바꾸는 전면적인 개혁을 바랐다. 가장 큰 걸림돌은 청나라와 그를 추종하는 친청 수구파였다. 임오군란 후 청나라는 조선에 “무릇 외우(外憂)에 관한 일은 일체 청국에 문의하라”고 지시했고, 청의 오장경(吳長慶)은 고종에게 “내가 3000 군대를 거느리고 여기에 와 있으니 매사에 황조(皇朝: 청의 조정)를 배신해서는 안 된다”고 협박했다. 청나라는 임오군란 직후인 고종 19년(1882) 8월 조선과 ‘상민수륙(商民水陸)무역장정’을 체결하면서 조선을 ‘속방(屬邦: 속국)’이라고 명기했다. 청나라 군사를 끌어들여 정권을 되찾은 민씨 척족정권은 청의 이런 횡포에 항의 한마디 하지 못했다.


고종 21년(1884) 5월 당초 개화파였던 민영익이 미국과 유럽을 순방하고 돌아온 뒤 친청 수구파로 전향하면서 개화당은 더욱 열세에 놓이게 되었다. 미국 공사관의 무관 포크(George C Foulk)가 “나는 민영익을 방문했는데 두 파 사이의 의견 차이가 너무 심하여 도저히 그들이 한자리에 모여 국사를 논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고 말한 대로 두 정파 사이의 충돌이 불가피했다. 박영효는 일본공사관의 서기관 시마무라 히사시(島村久)에게 “우리들은 소수인 데다 국왕은 반신반의(半信半疑) 태도이고, 왕비는 저들(수구파)의 말을 믿고 점차 마음을 돌리게 되어 마침내 우리들의 충언을 듣지 않게 되었다”라고 말한 것처럼 고종 부부의 개화 의지도 퇴화하고 있었다. 윤치호(尹致昊)가 “고우(古愚) 김옥균을 만났는데 여러 민씨들이 고우를 집어삼키려 하여 마지 않는다고 한다”고 전한 것처럼 김옥균은 민씨들의 제거 대상이었다.


민비를 정점으로 민태호·민영목·민영익·민영소·민응식 등 이른바 오민(五閔)이 정권을 독차지했다. 민씨 척족정권은 우영사(右營使)에 민영익을 앉히고 전영사(前營使) 한규직, 후영사 윤태준, 좌영사 이조연 등 자신들을 추종하는 인물들에게 군사지휘권을 주었다. 정치권력과 군사권력이 모두 수구파에게 돌아가자 김옥균은 비상수단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었다. 김옥균은 박영효의 집에서 “우리들은 수년 동안 평화적 수단에 의하여 각고진력해 왔으나 그 공효가 없을 뿐 아니라 금일 이미 사지(死地)에 들어가게 되었다. 앉아서 죽음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결심에는 하나의 길이 있을 뿐이다(朴泳孝邸ニ洪英植·金玉均·徐光範ト島村久談話筆記要略)”라고 정변을 각오했다. 1884년 봄 안남(베트남)을 둘러싸고 프랑스와 분쟁이 생기자 청은 조선 주둔 3000 병력 중 1500명을 안남으로 이동시켰다. 그해 8월 청불(淸佛)전쟁에서 청나라가 연전연패하자 김옥균은 호기라고 생각했다. 영어 통역을 맡았던 윤치호가, “고우(古愚: 김옥균)가 미국 공사를 방문해서 청불전쟁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우리나라가 독립할 기회가 어찌 이때에 있다고 하지 않겠는가’라는 등의 말을 하고 갔다(윤치호 일기, 1884년 8월 3일)”고 적고 있는 것이 이를 말해준다.


개화당은 정변을 위한 무력을 양성했다. 일본에 유학시킨 서재필(徐載弼) 등 14명의 사관생도들은 중요한 무력이었고, 육군도야마학교(陸軍戶山學校)에서 사관교육을 받은 신복모(申福模)가 만든 43명의 충의계(忠義契)도 있었다. 광주 유수 박영효도 500여 명의 군사를 길렀으며, 윤치호의 부친인 함경 남병사(南兵使) 윤웅렬(尹雄烈)도 북청(北靑) 지역의 장정 470여 명을 훈련시켰다. 무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종의 밀지가 필요했다. 김옥균은 일본의 고토 쇼지로(後藤象二郞)에게 보낸 조선 개혁의견서(改革意見書)에서 ‘조선 정치를 개혁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개혁을 강행해야 하는데, 무력을 행사하려면 국왕의 밀지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김옥균은 갑신일록(甲申日錄)에서 고종에게 밀칙(密勅)을 내려달라고 간청했더니 “(고종이) 즉시 칙서를 쓰셔서 수결하시고 옥새를 찍어서 내려주셨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개화당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처럼 수구파를 몰아내고 대개혁정치를 실시하려 한 것이다. 개화당은 독자적인 정변을 구상했으나 일본공사 다케조에(竹添進一郞)가 ‘청국이 장차 망할 것이니 귀국의 개혁지사들은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거들면서 연대하기로 결정했는데, 다케조에는 일본공사관 호위병 150명이면 청국군 1000여 명과 맞설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다.


드디어 고종 21년(1884) 10월 17일 개화당 홍영식이 총판으로 있는 우정총국(郵政總局) 낙성식의 날이 밝았다. 김옥균은 망명 후에 쓴 갑신일록에서 고종을 경우궁(景祐宮)으로 모시고 내위(內衛)는 충의계가, 중위(中衛)는 일본군이, 외위(外衛)는 조선군이 담당하는 3중 호위망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낙성식 축하연 도중 별궁(別宮)에 불을 지르는 것이 신호였는데, 별궁 방화에 실패해 우정총국 북쪽의 민가를 대신 불질렀다. 신호가 떨어지자 미리 지목한 친청 수구파에 대한 제거작전이 전개되었다. 도주하던 우영사 민영익은 중상을 입었고, 한규직·이조연·조녕하 등 군권을 장악했던 수구파 영사(營使)들은 모두 제거되었다. 민태호·민영목·조녕하 등 민씨·조씨 척족들도 제거했는데, 고종실록은 “임금이 연달아 ‘죽이지 말라’고 말했으나 듣지 않았다”고 전하고 있다.


고종 부부를 경우궁으로 모신 개화당은 이튿날인 10월 18일 신정부를 수립했다. 고종의 종형 이재원(李載元)을 영의정으로 추대하고 병조판서도 그 아우 이재완(李載完)을 추대하는 대신 전후 영사(營使)는 박영효, 좌우 영사는 서광범이 차지해 개화당이 군사지휘권을 장악했다. 김옥균은 판서 없는 호조참판이 되어 재정을 장악했는데, 대체로 대원군 계열의 종친과 개화당의 연립내각이었다. 개화당이 미국·영국·독일 공사 등을 부르자 고종은 외교사절들에게 신정부의 수립과 대개혁정치의 시작을 통지했다. 신정권은 수십개 조의 개혁정강을 발표했는데 김옥균은 갑신일록에서 그중 14개 조에 대해서 적고 있다. ‘①대원군을 귀국시키고 청국에 대한 조공을 폐지한다 ②문벌을 폐지하여 인민평등의 권리를 제정하고 재능에 의해 인재를 등용한다 ⑪사영(四營)을 일영(一營)으로 통합하고 왕세자를 육군 대장으로 정한다 ⑫일체의 국가 재정은 호조에서 관할한다’ 등의 항목이 눈에 띈다. 신분제도를 폐지하고 인민평등의 권리를 제창하고 재능에 의한 인재 발탁을 주창한 것은 가히 혁명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청군의 원세개(袁世凱)는 개화파로 위장한 경기관찰사 심상훈(沈相薰)을 통해 민비의 밥사발 밑에 서찰을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원세개는 나아가 우의정 심순택(沈舜澤)에게 조선 정부의 대표자격으로 청군 출동을 요청하라고 권고했고 심순택은 동조했다. 임오군란 때 청군을 끌어들였던 판서 김윤식도 청군의 출동을 요청했다. 고종은 10월 19일 오후 3시 ‘대정유신(大政維新)의 조서(詔書)’를 내려서 신정부가 대개혁을 단행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그 마음은 이미 신정권에서 떠나 있었다. 고종은 적은 병력의 신정권이 방어하기 곤란한 창덕궁으로 이어할 것을 거듭 요청해 관철시켰다. 청군 1500명이 일제히 돈화문과 선인문을 공격하자 민비는 창덕궁 북산으로 도주해 고종을 불렀다. 외위(外衛)를 맡은 조선 친군영 500여 명이 응전하다가 수십 명의 전사자를 냈는데 중위(中衛)를 맡은 일본군은 정변에 가담하지 말라는 외무대신의 훈령이 오면서 소극적으로 변했다. 김옥균 등은 고종과 인천을 거쳐 강화도로 가서 청과 계속 항전하려 했으나 고종은 “나는 결코 인천으로 가지 않겠다”고 반대했다.


드디어 10월 19일 밤 김옥균·박영효·서광범·서재필 등이 일본으로 망명하면서 갑신정변 ‘3일 천하’는 끝나고 말았다. 국왕을 호위해 청군에 넘긴 홍영식·박영교·신복모 등과 사관생도들은 모두 사형당했다. 고종은 청군 출동에 공이 컸던 심순택을 영의정으로 임명하고 신정권에서 발표한 일체의 개혁정령은 모두 폐지하고 김옥균·박영효·홍영식·서광범·서재필을 5적(賊)으로 규정했다.


김옥균 등은 조선의 이토 히로부미를 꿈꾸었지만 고종은 이토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 고종은 부국강병한 근대국가 건설에 목숨을 걸었던 개화당을 제거하는 것이 자신의 우익을 제거하는 것이란 인식조차 없었다. 청·일 두 나라는 1885년 1월 천진조약을 맺었는데 그중에 “일국(一國)이 파병을 요할 때는 마땅히 상대방 국가에 문서로 알려야 한다”는 조항이 들어있었다. 청일전쟁의 싹이 트고 있었던 것이다.

| 제190호 | 20101031 입력 http://j.mp/kQx4sO

Posted by qlstnfp
2011. 5. 1. 13:10

고종 앞에서 칼 빼든 이완용 “지금이 어떤 세상인데…”


이덕일의 事思史 근대를 말하다

|중앙 SUNDAY 제216호 | 20110430 입력



서울 광화문 앞 훈련원에서 훈련 중인 대한제국 군인들. 이완용과 군부대신 이병무는 이토의 지시에 따라 군대 해산을 주도했다.

[사진가 권태균 제공]


망국의 몇 가지 풍경



⑥고종 퇴위


통감 이토는 참정대신 이완용을 불러 “이(헤이그 밀사)는 조약 위반으로 일본은 한국에 대해 선전(宣戰)할 권리가 있다”고 협박했다. 주인의 질책을 들은 이완용과 내각 대신들은 곧바로 고종에게 달려가 따졌다. 일본외교문서 1907년 7월 7일자 등에 따르면 고종은 ‘짐은 이 사건과 아무 관계도 없고 모두 헤이그에 있는 자들이 밀서를 위조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대신들에게 사태 수습책을 강구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특유의 이중 처신이 통할 때는 이미 아니었다. 1907년 5월 차악(次惡)이었던 박제순 내각이 최악인 이완용 내각으로 교체된 터였다.


일진회의 송병준이 혹시라도 친일 경쟁에서 이완용에게 밀릴세라 적극적으로 나섰다. 흑룡회에서 편찬한 일한합방비사(日韓合邦秘史는 송병준이 일진회 고문 우치다(內田), 일진회 회장 이용구와 입을 맞추고 어전회의에 나갔다고 전한다. 송병준은 고종의 면전에다 ‘일본으로 건너가 일황(日皇)에게 사과하든지 대한문에 나가 주차군 사령관 하세가와 요세미치(長谷川好道)에게 항복하든지 선택하라’고 윽박질렀다. 고종을 도울 열강은 한 나라도 존재하지 않았다. 44년의 왕 노릇이 끝나게 되는 7월 18일. 고종은 우왕좌왕했다. 중추원 고문 박제순을 임시 궁내부 대신 서리로 삼았다가 곧바로 해임하고 총리 이완용에게 겸임시켰다.



1 우치다 료헤이와 송병준(오른쪽). 일본의 침략주의 단체 흑룡회의 우치다는 일진회를 통해 조선 강점에 깊숙이 개입했다. 2 일진회 고문 우치다(왼쪽)와 다케다 한시(가운데), 일진회 회장 이용구.


일본외교문서 대한매일신보 매천야록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고종실록 등을 토대로 재구성해 본 7월 18일

오후는 급박했다.

이날 오후 3시 이완용 등 내각 대신들은 회의를 하고, 오후 4시에 입궐해 고종에게 사태 수습책을 건의했다. 수습책이란 다름 아닌 왕위에서 물러나라는 통보였다. 다급해진 고종은 통감의 의견을 듣겠다며 시간을 끌었다. 5시에 이토를 만나 밀사 사건을 변명하면서 양위(讓位)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이토는 ‘한국 황실의 중대 문제에 간섭할 수 없으며, 내각 대신들과 상의한 일도 없다’고 천연덕스레 답하고 떠났다. 7시에는 서울에 온 외무대신 하야시(林董)에게 매달렸으나 소용 없었다.


내각 대신들은 8시쯤 다시 고종을 찾아가 양위를 요구했다. 황현은 매천야록에서 “이완용이 칼을 빼어들고 고함을 지르며, ‘폐하께서는 지금이 어떤 세상이라고 생각하고 계십니까’라고 협박하자 폐하를 모시는 무감(武監), 액례(掖隷)들이 흥분해 고종의 말 한마디만 있으면 갈기갈기 찢어버리려 하고 있었으나 고종은 아무것도 모르는 듯이 묵묵히 앉아 있었다”고 전한다.


밤 11시 고종은 원로 대신들의 의견을 들어보겠다면서 신기선(申箕善)·민영휘(閔泳徽)·민영소(閔泳韶)를 불렀다. 이듬해(1908) 사망하는 신기선은 논외로 치더라도 민영휘·민영소는 1910년 일제로부터 자작의 작위와 막대한 은사금을 챙기는 인물들이니 이완용과 다를 것이 없었다. 사면초가에 몰린 고종은 새벽 1시 “짐은 지금 군국(軍國)의 대사를 황태자로 하여금 대리하게 한다”고 물러섰다. 양위가 아니라 황태자 대리청정을 시킨 다음 기회를 봐서 복귀하려는 의도였다. 황태자는 두 번이나 대리청정을 사양하는 상소를 올리고, 고종은 ‘부모의 뜻을 따르는 것이 효도’라고 타일렀지만 대리청정은 이토나 이완용 내각이 바라는 답이 아니었다.


순종실록 즉위년 7월 19일자는 “(순종이) 명을 받아 대리청정하고 이어서 선위(禪位)받았다”고 모호하게 기술하고 있다. 통감부문서 7월 19일자는 이완용이 이토에게 보낸 ‘황태자 집무대리 조칙 통고건’인데, 19일에도 고종의 뜻이 양위가 아니라 대리청정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같은 날 오후 7시15분의 통감부문서 ‘황제 양위건’은 다르다. 법부대신 조중응이 통감 이토에게 와서 ‘양위의 건은 짐의 충심에서 나온 것으로 결코 남의 권고 또는 협박에 의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고종이 ‘본뜻을 오해하여 함부로 분개하거나 폭동을 일삼는 자는 통감에게 의뢰하여 제지하고 기회를 봐서 적절히 진압할 것을 위임한다’라는 칙명까지 내렸다고 전하고 있다. 고종이 자발적으로 양위를 결심했으며, 반대 봉기가 일어나면 이토에게 진압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것인데, 물론 조중응의 조작일 것이다.


일본외교문서 명치(明治) 40년(1907) 7월 20일조는 ‘오전 8시에 황태자 대리식을 거행했다’고 적고 있어서 고종은 여전히 황태자 대리청정을 고집했음을 알 수 있다. 일제와 친일 내각이 억지로 양위식으로 둔갑시킨 것이다. 고종과 황태자가 모두 불참한 가운데 이완용·임선준·고영희·이병무·이재곤·조중응·송병준 등 이른바 ‘정미(丁未:1907) 칠적(七賊)’과 여타 친일파 등이 참석한 식이 열려 고종의 44년 치세가 강제로 막을 내렸다.


영국인 베델이 발행하던 대한매일신보 1907년 7월 18일자 호외는 내각 대신들이 고종에게 ‘직접 일본에 가서 일본 황제에게 사과하라’고 요구했지만 고종이 거부했다는 궁중 소식 등을 전하면서 밀사 이준이 ‘흥분한 마음을 이기지 못해서 자결해 만국 사신들 앞에서 피를 뿌려 만국을 놀라게 했다고 한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헤이그에서 병사한 이준이 국내엔 자결한 것으로 전해지게 된 유래다.


황태자 대리청정 소식이 전해지자 종로 각지에 시민들이 모여 통곡하거나 친일 내각을 성토하고, 친일파들에게 훈장을 준 표훈원(表勳院)에 투석했으며, 한국군 일부가 경무청(警務廳)에 발포하고 시민들이 밤 11시쯤 일진회 기관지인 국민신보사(國民新報社)를 습격했다고 각종 기록들은 전하고 있다. 법부대신 조중응이 항의하는 군중에 대한 진압권을 이토에게 넘긴 것처럼 총리대신 이완용도 이토에게 “각 조약국에도 일체를 성명하라”면서 열강들에게 황태자 대리청정 사실을 통보하라고 권유했다.


통감부는 각국 공사관에 ‘한국인 폭도들’이 난입하면 보호해 주겠다고 통보했다. 이에 러시아 총영사(Georger de Plan<00E7>on)는 7월 20일 통감부 총무장관 쓰루하라(鶴原定吉)에게 ‘러시아 공사관은 어떤 위험은 느끼지 않지만 만일 폭도들이 침입하려는 징후가 보이면 방지하는 적절한 대책을 취해주면 고맙겠다’고 회보했다. 미국 총영사(Thomas Sammons)도 “한국 황제 폐하께서…진압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권한을 통감에게 위임했음을 알리는 귀하의 통첩을 접수했다”고 회보했으며, 청국 총영사는 ‘필요하다면 우리 총영사관에 군 경비대를 보내주기 바란다’고까지 통보했다.


이런 여세를 몰아 7월 24일 통감 이토, 하세가와 주차군 사령관, 하야시 외무대신은 총리대신 이완용과 이른바 제3차 한일협약을 체결했다. 제1조는 “한국 정부는 시정 개선에 관해 통감의 지도를 받는다”고 규정하고, “한국 정부는 법령의 제정 및 중요한 행정상의 처분은 미리 통감의 승인을 거친다(2조)”고 규정해 통감을 사실상의 총독으로 격상시켰다. 또 “통감이 추천하는 일본인을 한국 관리로 임명한다(5조)”고 규정했다.


이완용은 이토와 ‘협약 실행에 관한 각서’도 작성했는데 크게 재판권과 군대 해산에 관한 두 가지 사항이었다. 최고법원인 ‘대심원(大審院) 원장 및 검사총장과 전옥(典獄:형무소장)은 일본인으로 한다’고 규정했다. 또한 “육군 1대대를 존치시켜 황궁 수비를 맡게 하고 기타는 해산한다”라고 경호대대를 제외한 군대 해산을 명문화했다. 이완용 친일 내각은 대한제국이 살아나면 자신들은 죽는다고 생각했다. 이완용과 군부대신 이병무(李炳武:합방 후 자작 수여)가 군대 해산을 주도했다. 을사늑약은 외부대신이 체결하고 군대 해산은 군부대신이 주도하는 형국이었다.


군대 해산 D데이는 8월 1일이었다. 하세가와의 지시를 받은 이병무는 아침 8시까지 일본군 사령관 관저인 대관정(大觀亭)으로 시위대 각 대장들을 불러 10시에 훈련원에서 해산식을 한다고 통보했다. 서소문에 주둔했던 시위대 제1연대 1대대는 교관인 구리하라(栗原) 대위가 인솔해 해산식에 인솔하려 하자 대대장 박성환이 항의해 자결했다. 격분한 병사들은 영외로 뛰어나가 일본군을 향해 사격했다. 남대문 안에 있던 2연대 1대대도 이 소식을 듣고 동조 사격을 가했다. 일본군은 기관총 등의 중화기로 진압에 나섰고 결국 시위대 병사들은 진압당하고 말았다. 해산식에 참여한 병사들에게는 군모와 견장을 회수하고 계급에 따라 80~25원의 소위 은사금을 지급했다.


군대까지 강제 해산을 당함으로써 대한제국은 일본에 저항할 마지막 수단을 상실했다. 500년 제국은 그렇게 종말을 향해 치닫고 있었다.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