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 이전'에 해당되는 글 170건

  1. 2016.07.13 120년전의 기구한 사연
  2. 2015.11.03 역사채널e 최부와 표해록
  3. 2015.08.28 200년 전 서대문 모습, 경기감영
  4. 2015.03.09 모화관 -영은문
2016. 7. 13. 16:39


한미 수교의 시작점
1882년 5월 22일, 제물포에서 조선과 미국 사이에 조약(조미조약Joseon-US Amity Treaty)이 체결되었다. 한미 수교의 시작점이다. 이 조약의 체결로 미국은 1883년 서울에 상주공사관을 개설하였고, 조선 정부도 같은 해 보빙사 일행을 미국에 파견하였다. 그러나 주미 공사관의 개설은 1888년에야 이뤄졌다. 조선의 근대화 정책을 주변 열강의 영향력을 벗어나 독자적으로 추구하기 위한,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훗날 대한제국 제1대 황제가 된 고종(재위 1863-1907)의 결정이었다. 
1887년 8월 18일 고종은 미국에 파견할 특명전권공사(초대 주미 공사)로 개화파 관료 박정양을 임명했다. 공사 포함 11명의 최초 주미 공관원 일행이 12월 10일 일본의 요코하마 항에서 영국 여객선 ‘오순익(Oceanic) 호’로 갈아타고 항해하여 인천 출발 23일 만인 1888년 1월 1일 샌프란시스코 항에 입항, 9일에 워싱턴에 도착하게 된다. 
일행은 워싱턴 제 14가 106번지 에비트 하우스 호텔(Ebbitt House Hotel)에 들었다. (이 호텔은 1926년 헐렸고 지금은 내셔널프레스빌딩(NPB)이 들어서 있다. 백악관을 정면으로 하고 좌측으로 두 블록 떨어진 지점에 있다.)
‘이날 아침엔 눈이 오고 저녁엔 흐렸다. 오전 11시께업비태호텔을떠난일행은국서를받들고마차를탔다.’ 관원들과 함께 국무성을 방문, 국무장관을 만나 국서 부본과 영문 역본을 건넨 1월 13일 박정양 공사의 기록이다. (그러나 박 공사는 취임 후 1년을 못 채우고 본국으로 소환 당하게 된다. 출국 전부터 불거졌던 청나라와의 갈등이 문제가 되었다.)

공사관을 열다
워싱턴 공관 1등 서기관 월남 이상재(1850-1927)의 기록에 따르면 워싱턴 공관은 ‘워싱턴 제 15가 1513번지 피셔옥(皮瑞屋Fisher House)을 빌려 19일 시무식을 가짐으로써 비로소 체면도 서게 되었다’고 한다. 주미 공관원들은 이때부터 1891년 11월 27일까지 3년 10개월 동안 이 집을 빌려서 썼다. 그러다가 거주와 업무의 편의를 위해 1891년 11월 28일 좀더 넓은 건물을 사들여 옮겨가게 된다. 이번에 한국 정부가 되찾은 바로 그 건물이다. 이상재서기관의기록은다음과같다. 
“그 공관은 붉은 벽돌조의 3층 양옥으로 남향의 신축이었으며 응접실, 집무실, 침실, 식당, 욕간, 변소, 창고까지 구비하였는데, 최상층의 전면에는 깃대를 세우고 태극기를 높이 게양했다.”
워싱턴 북서쪽 13번가 1500번지에 있는 이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대지면적 226.16m2(약 68.5평), 연면적 542.55m2(약 164.4평)이다. 천장이 높고 널찍한 방들이 아홉 개 있고 지하에 또 다른 방 두 개가 있다. 1층은 공사관 사무실로 썼고, 2층과 3층은 공사관 직원 및 그 가족들의 숙소로 썼다고 한다. 
1877년 준공된 이 건물은 붉은 벽돌조(red-brick house)이고 지붕에 프랑스 망사르(mansart) 양식이 가미되어 있다. 외부 창 상인방은 매우 독특해 그 예를 찾기가 힘들다. 설계한 건축가의 이름은 남아 있지 않다. 공사관으로 쓰면서 원래 없던 현관 포치를 설치했다. 
최초의 소유주는 펠프스(Seth Ledyyard Phelps)였다. 이 주택의 매매 시에는 세벨론 에이 브라운(Sevellon A. Brown) 소유였다. 구매자는 ‘이씨조선 왕(King of Chosun Ye)’으로 되어 있다. 구입에는 왕실 자금 2만5000달러가 투입되었다. 
얼마 뒤부터는 홍콩으로부터 모셔온 고종의 어진(御眞)과 왕세자의 예진(睿眞)을 공관에 봉안하고 공사관원들은 매월 삭망(朔望;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 먼 조선 한양의 대궐을 향하여 망궐례(望闕禮)를 행하여 연모의 정을 표했다. 
1905년 11월 17일 을사늑약으로 우리 정부가 일본에 외교권을 박탈당하자 12월 16일 공사관은 기능을 잃고 문을 닫게 된다. 공사관 건물은 방치되다가 1910년 한일강제병합을 앞두고 단돈 5달러에 일본에 매각되었고 다시 10달러에 미국인에게 넘겨졌다. 
이 건물과 한국과의 인연은 이 부분에서 100년 세월을 훌쩍 뛰어넘어 2000년대 초로 이어진다. 워싱턴 한인사회에서 이민 10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이 건물을 다시 사들이자는 뜻을 세웠던 것을 시작으로, 워싱턴우리공사관찾기 운동본부 등 미주한인단체와 정부의 여러 매입 노력이 지난 십여 년 사이 꾸준히 이어졌다. 그러한 노력의 결실로 2012년 10월 18일,대한민국 문화재청과 민간 단체인 ‘문화유산국민신탁’이 이 건물을 다시 사들이는 결실을 맺게 되었다.


http://www.koreana.or.kr/months/news_view.asp?b_idx=2812&lang=ko&page_type=list



http://pictorial.hani.co.kr/slide.hani?sec1=098&sec2=001&sec3=303&seq=0&_fr=mt2

'1900년 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최초 신문 전면 광고  (0) 2016.07.29
김천택의 청구영언  (0) 2016.07.25
역사채널e 최부와 표해록  (0) 2015.11.03
200년 전 서대문 모습, 경기감영  (0) 2015.08.28
모화관 -영은문  (0) 2015.03.09
Posted by qlstnfp
2015. 11. 3. 16:45


조선시대의 표류기 표해록 제주도에서 표류를 당해서 오랜기간 떠돌다가 한양으로 돌아온 선비 최부와 표해록


http://ebs.daum.net/historye/episode/25571













Posted by qlstnfp
2015. 8. 28. 08:26





‘경기감영도(京畿監營圖)’ 12폭 병풍

돈의문을 지나 펼쳐지는 경기감영 일대의 200년 전 모습이다.



수많은 사람이 그려졌다. 

연못가에는 산보객이 거닐고, 군영 안에서는 훈련받는 군졸들이 대오를 갖췄다. 장옷을 쓴 부인은 분주히 걸음을 옮긴다. 

말을 탄 경기감사가 나아가는 길에 행인들이 부복하고 있고, 취타대가 풍악을 울리면서 따라온다. 남녀노소 구경꾼이 늘어섰다.



관청 건물은 주로 기와집이고, 민가는 초가집이 많다. 긴 담장이 거리 풍경을 아름답게 만든다. 쌀가게와 신발가게가 나오고, 약방과 주막도 있다. 멀리 칠송정 주변의 소나무들은 골짜기를 채우고 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218892&code=11171386&cp=nv



Posted by qlstnfp
2015. 3. 9. 21:17

한양천도를 단행한 태종이 돈의문 밖에 중국 사신을 위한 숙소를 짓고 모화루(慕華樓)라 명명했다. 중국 사신들의 비위를 맞추기 위하여 장대한 영은문도 세우고 연못도 팠다. 원나라 사신들이 묵던 송도 영빈관을 모방한 것이다. 세종 12년. 이곳에 묵은 중국 사신의 '우리가 상인도 아닌데 루(樓)가 뭐냐?'는 핀잔 한 마디에 모화관(慕華館)으로 문패를 갈아 달았다.

모화관에서 조칙(詔勅) 의식이 거행되었다.

"황제는 조선 국왕 이홍위에게 칙유(勅諭)하노라. 이제 너의 처 송씨를 왕비로 삼는다."

이래서 중국 사신을 칙사(勅使)라 한다. 칙서를 가져온 사람은 중요하지 않다. 그것이 비록 조선에서 천대받던 천민출신이 출세하여 사신이 되어 돌아왔다 하더라도 북경에 있는 황제가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정과 성과 예를 갖추어야 한다.

가는 사신, 오는 사신으로 바람 잘 날 없는 의주대로

조선은 정기적으로 중국에 사신을 파견했다. 정월 초하루 황제에게 세배하러가는 하정사(賀正使). 황제와 황후 생일축하 성절사(聖節使). 황태자 생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가는 천추사(天秋使). 동지에 가는 동지사(冬至使)를 포함해 년 4사(使)다. 훗날 중국이 번거롭다 하여 하정사와 동지사는 합병했다. 이밖에 사은사(謝恩使). 진하사(進賀使). 고명사(誥命使), 주청사(奏請使). 등등 구실도 많고 이름도 많다. 

조선이 사신을 보낼 때는 왕실의 대군이나 부마, 조정의 정승이나 판서급이 정사(正使)의 지위를 맡는 것이 관례였다. 헌데 중국은 그에 상응하는 지위에 있는 인물을 보내지 않았다. 격이 다르다는 것이다. '우리는 황제국이고 너희는 제후국'이라는 오만함이 깔려 있다. 약소국의 설움이다.

중국이 조선에 사신을 파견할 때는 조선에서 공물로 바친 환관급에서 보냈다. 외교 현안이 있을 때는 조선이 헌신짝처럼 버린 사람 중에서 골라 보냈다. 조선 길들이기다. 조선 임금을 비롯한 실력자들에게 열패감과 굴욕감을 주어 황실을 우러러보게 하기 위함이다. 힘의 논리를 앞세운 중국의 외교 전략이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86399


http://m.blog.daum.net/gijuzzang/4071655



http://blog.ohmynews.com/arts/266736?isPC=1





1884~ 5년 사이에 주한 미국공사관 무관이던 폴크가 찍은 영은문. 사진 설명에 서대문에 찍었다고 밝혔습니다.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