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4. 17. 15:55

Volatility Index (VIX)


4월 16일 VIX 지수는 이날 19.59를 기록하면서 전날보다 19%나 급등해 한달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골드만삭스가 사기혐의로 증권당국에 의해 피소된 충격 탓이란다.


VIX 지수는 1993년부터 시카고 선물옵션 거래소 (CBOE) 에서 제공해 오고 있다..


즉 시카고옵션거래소에 상장된 S&P 500 지수옵션의 향후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는 지수로, 증시 지수와는 반대로 움직이는 특징 있다.

통상 VIX가 상승하면 증시가 불안해지면서 하락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VIX지수가 최고치에 이른다는 것은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극에 달했다는 것으로 주식시장에서 팔 사람은 모두 팔아 치우게 돼 지수가 반등 여지를 마련 했다는 것을 의미. 일명 '공포지수' 라고도 한다.


VIX는 높을 경우 불안심리가 높아 증시에서 주식을 팔고 빠져나가려는 투자자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수이다.




VIX 지수 보는 법


1) % 단위로 VIX 30%면 앞으로 한 달간 주가가 30% 등락이 생길 거라는 예측을 의미.

2) 대체로 VIX가 높이자면 주가는 폭락하는 경향.

3) VIX 지수와 증권시장은 반대로 움직이는 특성이 있음.

4) VIX 지수 20 이하 : 과매수 구간으로 매도 고려 (흥분구간)

5) VIX 지수 40 이상 : 과매도 구간으로 매수 고려 (공포구간)

통상적으로 VIX 지수가 40 이상이면 과매도권으로 보고 이 이상에서 VIX가 움직이면 일단 매도포지션을 정리하고 매수관점에서 생각해야 한다.

사람들이 공포에 질려 주식을 내지르는 구간이기 때문에 역으로 매수 포지션만 생각하면서 시장을 바라보는 게 현명하다. 공포심리가 극에 달했던 2008년 10월 하순경 VIX는 90선을 터치했다.

http://stockcharts.com/h-sc/ui?s=vix

http://unitalk.hellojob.com/won/link/?item_no=5513


http://www.barchart.com/quotes/VXZ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골드만삭스를 부채담보부증권(CDO) 사기 혐의로 기소했다.


SEC는 맨해튼 연방법원에 제출한 소장에서 골드만삭스가 미국 주택시장이 침체되기 시작했을 때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연계된 금융 상품의 주요 사실을 허위로 알리고 삭제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SEC에 따르면, 골드만삭스가 서브프라임 모기지담보증권(MBS)의 수익률에 연계된 CDO인 `아바쿠스(ABACUS)`를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헤지펀드 폴슨앤드컴퍼니를 참여시켰다. 폴슨은 이 상품의 가치가 하락할 때 수익을 챙길 수 있는 방향으로 투자를 했다.

특히 폴슨앤드컴퍼니는 이 CDO를 설계하고 판매한 골드만삭스에 1500만달러를 지불한 것으로 드러났다.


CDO는 2007년 초에 만들어졌으며, 이로부터 약 9개월 후 미국 주택시장의 침체가 본격화되면서 폴슨의 제안으로 CDO에 편입된 채권 99%의 가격이 급락했다. 하락에 베팅했던 폴슨은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 그는 이 해에 150억달러를 벌어 들였다.


그러나 골드만삭스는 이같은 사실을 의도적으로 다른 투자자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입은 손해는 10억달러 이상이라고 SEC는 밝혔다.


SEC는 골드만삭스를 기소하는 동시에 골드만삭스의 부사장인 패브리스 투르도 기소했다. 다만 폴슨 회장은 기소하지 않았다. SEC는 폴슨 회장을 기소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이 상품을 대표한 것은 골드만삭스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골드만삭스는 "근거가 없다"며 어떠한 부정 행위도 하지 않았다고 맞섰다. 투르 부사장과 폴슨 회장은 즉각적인 답변을 하지 않거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제임스 코디어 옵션셀러스닷컴 매니저는 "초대형 금융사가 믿을 수 없는 일을 했다는 점이 투자자들을 두렵게 만들었다"며 "지난 수개월 동안 금값을 움직여 온 것은 위험선호 욕구이었는데, 오늘은 이러한 욕구가 크게 타격을 입었다"고 말했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125046592937104&SCD=DB51&DCD=A10103

Posted by qlstnfp
2010. 4. 17. 14:48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3-30&officeId=00009&pageNo=12&printNo=4944&publishType=00020&articleId=1982033000099212002

이남자의 사는 법 - 헛 꿈 (夢想)

그런 일 생길 징조라도 보이면 안된다.


2010/04/16(금) -내가 대통령이라면- (716)


내가 대통령이라면,


천안함이 격침되었다는 정보에 접하자마자, 공연히 청와대 지하 벙커에서 안보회의를 세 차례, 네 차례 소집하여 시간을 낭비할 것이 아니라 국방장관을 불러 비상계엄령을 준비하라고 명령하겠습니다


김정일 편에 서서 대한민국을 헐뜯기만 하는 입만 살아있는 요 고약한 놈들은 군사정권하에 갇혀있던 의왕구치소와 안양교도소에 분산·수용하고 일단 인신보호영장(habeas corpus)을 당분간 대통령 직권으로 정지시키겠습니다.


즉시 전군의 전투부대를 휴전선 전역에 배치하고 대북방송을 요란하게 재개하여, “까불면 죽는다”고 우리가 먼저 호통을 치고, 공군전투기가 휴전선 상공을 날게 할 것입니다.


어쨌건 (내가)대통령이 아닌 것만은 확실합니다.



http://www.kimdonggill.com/


무찌르자! 오랑캐







Posted by qlstnfp
2010. 4. 16. 18:54

음모론(陰謀論, 영어: conspiracy theory)이란



그림은 http://entertainment.stv.tv/tv/108348-big-brother-evictions-conspiracy-theory/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킨 사건의 원인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할 때, 배후에 거대한 권력조직이나 비밀스런 단체가 있다고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정보를 듣기 힘든 격동기나 혼란스러운 시기에 이러한 음모론들이 많이 유포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음모론은 사회의 위기 상황이나 인간의 한계 상황, 혼란 때

사건을 주관적으로 이해하려 하거나 또는 부정확한 정보들이 난무할 때,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평소에 간과되었던 부분이 해당 대상과 관련점이나 유사점이 엿보일 때 이에 대해 과다하게 집중하면서 가정과 비약이 덧붙여져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물론 평범한 이야기에 살과 뼈가 덧붙여 부풀어 오른다.


음모론의 핵심은 인과론(因果論)이다.

세상 모든 일에서 우연히 일어나는 경우란 없다는 생각이다. 이 경우 사건의 발생에서부터 진행, 결말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가 원인과 그에 따른 필연적 결과로 완벽하게 설명되지 않으면 안 된다.

설사 전체적인 틀에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는 결정적 원인이 있음을 인정한다 해도 마찬가지다.

중간중간 인과의 연결고리가 느슨한 곳이 있다면 이 또한 음모론의 배양조건이 된다.

부분적 연결관계가 매끄럽고도 빈틈 하나 없이 설명되지 않으면 마침내 음모론은 거대한 시나리오를 상정하는 단계로 확대된다.


지나치게 사건 진행 간의 개연성에 집착하기에 사건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 요소들 중에서 우연적이었지만 또한 결정적이었던 요소도 외면하려한다.

반대로 사건 발생 당대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간과된 가정들을 지나치게 맹신하고 근거로 삼는 부분이 많이 보인다.

그리고 사건이 가져온 파장을 따져본 뒤, 결과적으로 현실적 이득이 돌아간 측에다 초점을 맞춰 거꾸로 의도를 추론하는 방식이다. 그렇게 해서 특정인이나 세력이 그 같은 결과를 얻으려 처음부터 치밀하게 모든 일을 계획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음모론의 심리를 ‘긍정적 피드백’ 현상이라 설명하는 심리학자도 있다.

‘긍정적 피드백’이란 자기 가설에 부합하는 사실만 채택하고 맞지 않은 것은 버리는 심리행태를 지칭한 것이다. 그는 “원인과 결과를 확실히 알고 싶어하는 것이 보통 사람들의 심리인데, 사건의 해석이 쉽지 않은 경우 단순명쾌한 ‘음모론’이라는 블랙박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풀이한다.


그러나 완벽하게 통제된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자연과학 실험이 아닌 다음에야 현실에서 이렇게 완결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기에 사람들은 공식적인 발표가 나오면 지금은 일단 믿고 지켜본다..


하지만 음모론이라고 해서 다 믿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잘 알려진 음모론 중에 미국 정부가 매독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가난한 흑인들을 실험대상으로 했었다는 것이 있었는데, 이 음모론이 사실로 밝혀지면서 당시 미국 대통령 클린턴이 앨리배마주 터스키 지방으로 내려가 유족에게 사과를 하기도 하였다.

http://www.telegraph.co.uk/news/picturegalleries/picturesoftheday/7589045/Pictures-of-the-day-14-April-2010.html?image=4



영국 주간 이코노미스트는 인터넷 검색엔진 구글에서 가장 인기를 끄는 ‘세계 10대 음모론’을 소개한 적이 있다.

http://codexofdreams.blogspot.com/2008/07/human-attraction-to-conspiracy.html


거기에 작년에 나돌았던 '신종플루 음모론'은 인도네시아 보건장관이 힘을 싣고 미국의 전직 국방장관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9/07/30/200907300500008/200907300500008_1.html


9·11테러 미국 정부 자작설


미 정부가 2001년 알 카에다의 9·11 테러 계획을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묵인했다는 것이 골자다. 한발 더 나아가 미 정부가 테러를 직접 계획했거나 집행했다는 주장도 있다. 다큐멘터리 영화 ‘루스 체인지’는 이 음모론에 기름을 붓는 역할을 했다.


‘에어리어 51’ 외계인 거주설

민간인의 출입이 철저히 통제되는 미국 네바다 주의 공군기지 ‘에어리어 51’에 외계인의 존재와 미확인비행물체(UFO)와 관련한 정보들이 숨겨져 있다는 설이다.


엘비스 생존설

‘로큰롤의 황제’ 엘비스 프레슬리(1935~1977)가 대중의 시선을 피하기 위해 죽음을 가장해 사라졌으며, 지금도 어딘가에 은거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아폴로 11호 달착륙 연출설

미·소 냉전의 절정기에 소련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가 발사되자 뒤처질 것을 우려한 미국이 세트장에서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을 연출했다는 음모론이다.


셰익스피어 가공인물설

역사가 매우 오래 된 음모론이다. 셰익스피어가 실존 인물이 아니라는 설은 18세기부터 제기되어 왔다. 셰익스피어 작품의 실제 작가에 대해선 크리스토퍼 말로, 엘리자베스 1세, 프란시스 베이컨 등이 지목된 적이 있다.


예수 결혼설

예수가 막달라 마리아와 결혼해 아이를 낳았으며 그 후손이 오늘날에도 살아 있다는 설이다. 오랫동안 야사로 내려오다 소설 ‘다빈치 코드’를 통해 많은 사람에게 유포됐다. 이 음모론은 기독교계로부터 비판을 받는 음모론이기도 하다.


파충류 외계인 지구지배설

우주에서 온 파충류 인간이 비밀리에 세계를 조종하고 있다는 음모론이다.


에이즈 개발설

인종차별주의자들이 특정 지역의 인종을 몰살시키기 위해 고의적으로 에이즈를 만들었다는 주장이다. 2007년에는 리비아 정부가 자국 어린이들에게 에이즈 오염 혈액을 고의로 수혈했다는 혐의로 외국인 의료진을 종신형에 처했다가 석방하기도 했다.


존 F 케네디 암살 배후설

케네디는 1963년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총격을 받고 숨졌다. 연방정부 공식조사기구인 워런위원회는 이 사건을 리 하비 오스왈드의 단독 범행이라고 결론지었지만, 오스왈드가 잭 루비에게 살해되면서 배후를 둘러싼 음모론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배후에 대해선 미국과 소련의 정보기관인 CIA, KGB, 그리고 마피아가 단골로 등장한다.


다이애나 사망 영국 왕실 개입설

1997년 다이애나 전 영국 왕세자비가 교통사고로 숨질 당시 함께 사망한 이집트 출신 도디 알 파예드의 아버지 모하메드의 거듭된 주장이다. 모하메드는 왕세손 윌리엄의 친모인 다이애나가 무슬림과 결혼하는 것을 원치 않는 영국 왕실이 사건의 배후라고 말해왔다. 그는 특히 다이애나의 시아버지였던 필립 공을 암살 음모의 핵심으로 지목하고 있다.


'세상에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X 지수--세상이 별걸 다 배우게 만든다.  (0) 2010.04.17
이걸 원하십니까?  (0) 2010.04.17
Obama`s body language  (0) 2010.04.15
다시 보는 사진 한장  (0) 2010.04.15
‘부수적 살인(Collateral Murder)’  (1) 2010.04.15
Posted by qlstnfp
2010. 4. 15. 23:02

'세상에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걸 원하십니까?  (0) 2010.04.17
음모론(陰謀論, 영어: conspiracy theory)  (0) 2010.04.16
다시 보는 사진 한장  (0) 2010.04.15
‘부수적 살인(Collateral Murder)’  (1) 2010.04.15
세상의 한 부분  (0) 2010.04.15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