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2. 7. 13:23



상감령은 강원 철원의 오성산(해발 1062m) 동북방에 이어진 고지군(群). 


강원 김화군 김화읍 계웅산 북쪽 2㎞에 있는 해발 598m의 나지막한 야산이다. 


지금은 북한 땅인 이곳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중국 사람치고 상감령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한국전쟁에서 가장 유명한 상감령 전투의 현장이기 때문이다.


상감령은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삼각고지와 저격능선 일대를 부르는 중국식 지명이다. 중국 공산당은 항미원조(抗美援朝·미국에 대항해 북한을 돕는다)를 내걸고 6·25전쟁에 참전했다. 51년 7월 휴전 협상이 시작되자 중공군은 상감령에 땅굴 진지를 구축했다. 협상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전략 요충지 사수에 나선 것이다. 52년 10~11월 43일간 백병전 42회, 고지의 주인이 12차례 바뀌는 일진일퇴 끝에 중공군은 삼각고지와 저격능선의 한 개 고지를 점령했다. 


952년 10월14일부터 43일 동안 하루 평균 30만발씩 포탄이 떨어졌을 정도로 치열한 전투에서 국군 제2사단과 미 육군 제7사단 공격을 막아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저격능선 전투와 삼각고지 전투를 합쳐 중국은 상감령 전투라고 한다. 


미군 7사단과 함께 공방에 나선 국군 2사단은 도중에 미군이 빠지자 이 전투를 도맡아 저격능선 일대의 2개 고지를 탈환했다. 





중국은 ‘상감령 전투’를 “지원군이 조선전쟁에서 거둔 최대의 승리”라고 선전한다.


중국은 이 전투를 항미원조를 대표하는 전투로 포장했다. 며칠 안 됐지만 미군과 맞붙었고 북한의 전략 요충지를 피 흘려 지켰다는 점에서 항미원조의 개념에 맞아떨어졌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렸고 영화로 만들어졌다. 영화의 주제가 ‘나의 조국’은 대형 국가 행사 때마다 연주되며 혈맹의 기억을 재생산했다.


이 ‘상감령’ 전투의 승패는 ‘지하만리장성’이 갈랐다. 

중국군은 1951년 8월부터 기막힌 전법을 펼친다. 임진강 하구부터 강원도 동쪽 끝 간성까지…. 전체길이 250~287㎞(폭 20~30㎞)에 이르는 갱도를 지하에 건설한 것이다. 갱도(9519개)와 엄·채·교통호(3683㎞) 등을 합하면 총연장 4000㎞에 이르는 거대한 단일요새였다. 중국은 ‘지하만리장성’이라 했다. 2층 구조인 지하장성은 식당과 강당, 병원까지 갖추었다. 마오쩌둥(毛澤東)은 “어떤 사단도 3개월의 식량을 보급할 지하공간을 갖췄다”고 자랑했다. 특히 상감령 일대에는 총연장 8.8㎞에 이르는 갱도를 구축했다. 미국 군사전문가들도 “원자폭탄을 터뜨렸다 해도 점령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혀를 내둘렀다. 유엔군은 이 지하장성 때문에 모든 전선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10192101545&code=990000&s_code=ao102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3212128545&code=990201


http://www.vietnamwar.co.kr/technote6/board.php?board=gesipan12&page=3&command=body&no=615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