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1. 15. 09:58



고려말 일연 스님 저작으로 알려진 삼국유사는 조선 중종시대인 1512년 경주에서 간행한 목판본인 이른바 ’중종 임신본(中宗 壬申本)’이 완전한 형태로 전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그 이전에는 언제, 누가, 어디에서 찍었는지를 알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었다. 


다만 빠르면 고려말, 늦어도 조선 초기에는 찍었을 판본이 최근 들어 발견

 낙장 없이 완벽한 상태로, 출판상태로 보아 조선 초기에 간행된 것이 확실한 삼국유사 1책 목판인쇄본 공개.


 1책은 신라ㆍ고구려ㆍ백제ㆍ가야의 역대 왕에 대한 간략한 족보 기술 모음집인 ’왕력편’과 삼국시대 각종 기이한 이야기를 모은 ’기이편(紀異篇)’ 권1과 권2로 구성된다. 전통시대 서적은 단행본 1권으로 엮인 묶음을 책(冊)으로, 그것을 구성하는 각 챕터를 권(卷)으로 일컫는다. 


특히 삼국유사를 구성하는 여러 편 중에서도 오직 왕력편만큼은 유독 글자의 탈락이나 오류가 심한 데다, 중종 임신본 이전으로 올라가는 판본이 발견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번 손보기 소장본 왕력편은 그 가치가 ’국보급’으로 평가된다. 

예컨대 기존 중종 임신본을 통해 신라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어머니 천명부인(天明夫人)은 죽은 뒤에 받은 이름인 시호가 문정(文貞)이라 했지만 이번 조선초기본에서는 문진(文眞)으로 쓰였다. 신라 진덕여왕 아버지는 국기안(國其安)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자료에서는 국진안(國眞安)으로 드러났다. 

또한 진덕여왕의 어머니 아니부인은 아버지가 기존 자료에는 이름이 ’奴’이며 사후에 ’○○갈문왕(葛文王)으로 추봉되었다고 했지만 이번 자료에서는 기존에 탈락한 갈문왕 이름이 ’만천(滿天)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임신 정덕본에서는 김춘추의 아버지를 ’용춘탁문흥갈문왕’(龍春卓文興葛文王)이라 했지만, 이번 손보기 소장본에는 ’용춘 각간 문흥갈문왕’(龍春角干文興葛文王)이라 했다. 그의 아버지가 생전 이름이 용춘으로 최고 관위는 각간(角干)이었다가 그의 사후에 김춘추가 즉위하면서 문흥갈문왕으로 추봉되었다는 사실을 명확히 해주고 있다. 

서지학자인 신승운 성균관대 교수는 “귀중한 왕력편 판본을 손보기 선생이 소장하고 계셨다는 사실은 이 분야 전문가들은 다 알고 있었지만, 선생이 생전에 공개하지 않아 그 전모를 알 수가 없었다”면서 “이번에 공개한 자료는 임신 정덕본 이전에 나온 유일한 왕력편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는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고 말했다. 

한국고대사 전공인 서영대 인하대 교수는 “왕력편은 왕들의 족보라는 점에서 글자 한 글자 한 글자가 다른 책보다 더없이 중요한데 이번에 조선 초기 판본이 마침내 공개됨으로써 기존에 품은 한국고대사의 의문점 상당수가 해소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보통 판본이 오래일수록 그 책의 원래 모습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 이번에 공개된 왕력편은 그런 측면이 많지만 후대 판본에 비해 문제가 있는 구절도 발견된다. 

예컨대 진흥왕의 어머머 지소부인(只召夫人)은 기존 임신 정덕본에서는 ’모량이 영실 각간의 딸’(牟梁里英失角干之女)이라 했지만, 손보기 소장본에는 ’모량리 영실 백구의 딸’(牟梁里英失伯口之女)이라 해서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게 돼 있다. 

한편 연세대는 오는 16일 오전 11시30분 본관 2층 소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 자료를 공개할 예정이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