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949건
- 2013.02.28 민족일보사건 [民族日報事件]
- 2013.02.28 1924년 日교과서도 ‘독도는 조선땅’
- 2013.02.28 일제강점기 모습.
- 2013.02.12 사진작가 최민식
민족일보 사건은 1961년 군부세력이 혁신계 진보성향의 신문인 민족일보의 조용수 사장을 `간첩혐의자로부터 공작금을 받아 민족일보를 창간하고 북한 활동에 고무·동조하는 반국가적 기사를 냈다는 혐의로 발행인이던 조용수 등을 체포한 뒤 특수범죄처벌에관한특별법( 1961년 6월 제정, 제6조에서 정당ㆍ사회단체의 주요간부의 지위에 있는 자가 반국가단체의 이익이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단체나 구성원의 활동을 찬양, 고무, 동조하면 사형이나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면서 3년6월까지 소급적용)을 소급 적용해 처형하고 민족일보를 폐간조치한 것을 말한다.
1961년 2월 13일 창간된 〈민족일보〉는 '민족의 진로를 가리키는 신문', '부정부패를 고발하는 신문', '근로대중의 권익을 옹호는 신문', '양단된 조국의 비애를 호소하는 신문'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남북협상·중립화통일·민족자주통일 등 진보적 여론을 주도했다.
5·16군사정변 직후인 1961년 5월 19일 계엄사령부는 〈민족일보〉를 폐간시키고, 〈민족일보〉 발행인이자 사회대중당의 간부였던 조용수를 비롯한 관련자 8명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약칭 조총련)의 불법자금을 받아 〈민족일보〉를 창간하고, 이를 이용해 평화통일방안을 주장하는 등 북한을 고무·동조했다는 혐의로 구속했다.
1961년 7월 23일 혁명검찰부는 조용수를 포함한 13명을 혁명재판소에 기소했다. 1961년 8월 28일 열린 1심 공판에서 혁명재판소 재판부는 조용수·안신규·송지영에게 특수범죄처벌에관한특별법 제6조를 적용해 사형을 선고했다. 변호인단은 "〈민족일보〉가 정당이나 사회단체가 아니고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회사이므로 특별법 6조에 해당하지 않고, 신문 발간 자금 역시 조총련과 무관하다."고 주장하며 상소를 제기했다.
1961년 10월 31일 열린 상고심 변론 공판에서 혁명재판부는 '조용수 등이 사회단체의 간부는 아니지만 정당의 주요 간부'라는 점을 들어 상고를 기각하고, 조용수·안신규·송지영에 대해 사형을 확정지었다. 조용수에 대한 사형은 1961년 12월 21일 집행되었고, 안신규와 송지영은 이후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08m2172n11
사진은 1961년 8월28일 민족일보 사건으로 혁명재판에 회부되어 법정에 들어가는 민족일보 사장 조용수와 송지영, 그리고 안신규(왼쪽부터). 연합뉴스
민족일보 조용수사장 47년만에 ‘무죄’
‘민족일보 사건’ 고 송지영씨, 재심개시 결정
'1960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일교포 북송 (0) | 2015.02.12 |
---|---|
1960년 3.15 부정선거 (0) | 2014.03.15 |
그때를 아십니까 51화 - 그 꽃전차는 어디로 갔는가 (0) | 2013.09.22 |
4.19 영상기록 (0) | 2013.04.06 |
1966 -1967 서울 (0) | 2009.10.22 |
[서울신문]일본은 1905년 2월 22일 시마네현 고시를 통해 독도를 강제 편입했지만 1924년 발간된 일본 교과서에 '독도가 조선땅'이라고 분명하게 명시해 가르친 증거가 발견됐다.
한일문화연구소장인 김문길 부산외대 명예교수는 27일 독도를 조선땅이라고 기술한 일본의 근대 중등학교 교과서를 공개했다. 1924년 10월 1일 일본 메이지 서원에서 발간한 이 교과서에는 러일전쟁당시 전투 상황을 담은 지도 '일본해해전도'(日本海海戰圖)가 실려 있다. 이 지도에는 1905년 5월 28일 오전 10시 일본 제4함선이 전투를 지휘했다는 설명과 함께 지명을 소개하는 색인란에 죽도(독도)가 조선에 속한다고 명시돼 있다.
김 교수는 "그동안 독도를 일본 영토와 다른 색으로 표시한 지도는 있었지만, 독도를 조선땅으로 명시한 일본 교과서가 발견된 것은 처음인 것으로 안다"면서 "일본이 1905년 독도를 빼앗고 이름도 바꿨지만, 일본 학생들에게는 독도가 조선땅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가르쳤다는 증거"라고 전했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30228025811166
'옮겨 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ustice with Michael Sandel -2009- (2) (0) | 2013.03.19 |
---|---|
Justice with Michael Sandel -2009- (0) | 2013.03.19 |
정수장학회 국정원 조사보고서 (PDF) (0) | 2012.10.22 |
516장학회의 1971년 4월 20일 해명광고 (0) | 2012.10.22 |
이근안 그는 지금 어디서 무엇을... (0) | 2012.10.06 |
【서울=뉴시스】조수정 기자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3.1절을 맞아 최근 비밀 해제된 해외 국가기록 부처의 자료를 28일 공개했다.
사진은 일제시대의 일본인 경찰.
이번에 공개되는 자료는 영국 국가기록원(TNA: The National Archives)이 보관하고 있던 자료와 미국 국가기록관리청(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에서 보관하던 일제 억압과 수탈의 현장을
타라와 섬으로 끌려가는 한국인 노동자 모습.
1940년대 초 학도보급대 동원 모습.
농촌 어린이의 모습.
일제 강점기 시대 버스의 모습.
제물포항
담은 사진들이 있다. (사일본 큐슈부두 인근 임시막사 한국인들 모습.진=국가기록원 제공)
'1930-4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30년 청주선 열차 개통 (0) | 2013.03.19 |
---|---|
1930년대 운행되던 택시 (0) | 2013.03.19 |
고종 막내딸, 덕혜옹주 출생 100주년 특별전 (0) | 2012.12.11 |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이은 (0) | 2012.08.14 |
조선황족 이우, 그는 왜 야스쿠니에 있는가 (0) | 2012.08.14 |
한국 다큐멘터리 사진의 대가로 꼽히는 원로 사진작가 최민식 씨가 12일 오전 8시40분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5세.
1928년 3월 6일 황해도 연백에서 태어나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자동차 기능공으로 일하다 상경,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미술학원에 다니며 화가의 꿈을 키웠다.
1955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중앙미술학원에서 2년간 미술을 공부하다가 우연히 헌책방에서 에드워드 스타이켄의 사진집 '인간 가족'에 매료되면서 독학으로 사진을 공부하며 진로를 바꿨다.
고인은 1957년 사진에 입문한 이후 55년간 사진가로 살아오면서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한 살롱 사진 대신 '인간'이라는 주제에 천착해 다큐멘터리 사진을 고집했다.
'정직하고 정확한 사진'을 추구하며 서민의 고단한 삶과 힘없고 소외된 사람들의 모습을 사실적이면서도 애정어린 시선으로 포착했다.
1962년에는 대만 국제사진전에서 사진 2점이 입선한 것을 시작으로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세계 20여 개국의 권위 있는 사진공모전에서 입상하며 세계 사진계에 이름을 알리기도 했다.
1974년 한국 사진문화상을 받았고 이후 도선사진문화상, 현대사진문화상, 예술문화대상 본상, 대한사진문화상 등 각종 사진 상을 휩쓸었다.
부산에 거주해온 그는 최근 자갈치 시장의 생동감 넘치는 삶의 현장을 카메라에 담아왔다.
또 매년 인도나 네팔 등을 찾아가 보름씩 머무르며 현지 서민들의 삶을 촬영하는 등 왕성한 작품활동을 펼쳤다.
그는 2008년 자신의 사진작품 원판 10만여 장 등 13만여 점의 자료를 국가기록원에 기증해 민간기증 국가기록물 제1호로 지정된 바 있다.
수십 년간 촬영한 사람들의 사진을 모아 '인간(HUMAN)'이라는 제목의 사진집 14권도 출간했다.
지난 1월에는 사진집 14권과 인화해 보관해온 사진 중 그의 작품세계를 잘 보여주는 사진과 에세이 등을 모아 사진 인생 50년을 결산하는 사진집도 펴내는 등 왕성한 활동을 펼쳐왔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33939&PAGE_CD=ET000&BLCK_NO=1&CMPT_CD=T0000
'세상에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plane on a flight radar website. (0) | 2013.07.03 |
---|---|
수(隋)나라 양제(煬帝)의 것으로 보이는 무덤 (0) | 2013.04.15 |
전태일... (0) | 2012.11.13 |
마드리드 성당들 (0) | 2012.08.19 |
마드리드 국립 소피아 아트센터 (0) | 201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