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exander cuts the Gordian Knot by Jean-Simon Berthélemy (1743–1811)
심히 풀기 어려운 문제를 고르디우스의 매듭이라한다.
고르디우스의 매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칼로 잘랐다고 하는 전설 속의 매듭이다.
요즈음은 '대담한 방법, 파격적 해법을 써야만 풀 수 있는 문제'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고대 소아시아의 프리기아의 왕인 고르디우스는 자신의 마차를 신에게 바치면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매듭으로 신전에 묶어놓았다. 이 매듭을 푸는 사람이 아시아를 정복하는 왕이 될 거라는 예언를 곁들여.
수많은 사람들이 매듭을 푸는데 도전했으나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는데 동쪽으로 원정하던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이 이 매듭을 푸는데 도전. 하지만 아무리 애써도 풀리지 않자, 그는 칼을 뽑아 매듭을 잘라 버렸다고.
그러나 그는 인더스강은 넘어섰으나 결국 기원 324년 페르시아로 회군. 결국 말라리아에 걸려 32세에 요절했다 전한다.
고르디우스의 예언이 맞았는지는 지금도 ...
“고르디우스의 매듭”에 대응해서, 동양에는 쾌도난마(快刀亂麻)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어지럽게 헝클어진 실타래를 한 올 한 올 풀어내려 애쓰기보다, 날랜 칼로 베어내는 것이 좋을 수 있다는 뜻이다.
세상사는 이야기는 때로 즐거운 것도 있지만, 갈등, 불안, 당황, 고뇌, 후회, 자책, 분노 등 다양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부정적인 사건들이 대부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매우 난처한 처지, 소위 진퇴양난(進退兩難)에 빠지기도.. 세상사를 풀어가는 뾰쪽한 비책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매듭을 푸는 묘수를 찾지 못해 안타까웠던 기억들...
복잡하게 뒤얽힌 일 일수록, 어쩌면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이 공허해서 그 해법에 공리공논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단순하게 처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어쩌면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푸는자 아시아정복'이라는 논제가 알렉산더가 매듭을 칼로 자른 후 사라지고 그 것이 옳은 해법이었느냐라는 문제로 모습을 바꾸었듯이 또 새로운 문제가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저 그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있는 아우들 모두 흩어졌는데(有弟皆分散) (0) | 2017.01.27 |
---|---|
육도삼략(六韜三略) (0) | 2013.03.13 |
트윗에 올린 사진들 (0) | 2011.06.17 |
5월 18일f (0) | 2011.05.18 |
2011년 5월 17일 (0) | 201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