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에 해당되는 글 79건

  1. 2011.01.03 1.4후퇴
  2. 2010.03.07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군인`
  3. 2010.02.18 거제도 포로 수용소
  4. 2010.02.03 17,000 Australians 3
2011. 1. 3. 15:33

1·4 후퇴는 한국전쟁시 중공군의 참전에 따라 연합군이 대규모로 퇴각한 사건으로 1951년 1월 4일은 서울을 공산진영에 빼앗긴 날이다.


1950년 10월 8일, 미군의 38선 이북으로의 진군 다음 날, 마오쩌둥은 중화인민해방군 북방지역군에게 중화인민의용군 휘하로 편입하여 한국을 침공할 것을 명령하였다.


1950년 10월 24일 한국군 제 6 사단이 청천강 상류에 있는 운산에서 중국군에 포위되었고, 이를 구출하기 위한 미국 제 1 기병사단마저도 26일에 포위되어 고전 하였다. 유엔군은 11월 24일 맥아더가 직접 지휘에 나서 총공격을 시도하며 방어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서부전선의 유엔군은 29일까지 청천강 이남으로 후퇴하였고 12월 1일부터는 동부전선에서도 철수를 개시.


1950년 12월 장진호 전투에서 중국군 속에서 간신히 빠져나온 미국 1해병사단, 한국군은 38도선 이북에서의 대대적인 철수를 계획하였다. 이후 12월 4일에 평양을 철수하고, 12월 14일부터 24일 사이에 동부 전선의 한국군 12만과 피난민 10만이 흥남 부두에서 해상으로 철수하였는데, 이를 가리켜 흥남철수라고 한다.

흥남부두의 함상 철수장면을 노래한게 굳세어라 금순아 라는 노래."눈보라가 휘날리는 바람찬 흥남부두에...."로 시작되는 철수하면서 잃어버린 여동생 금순이 이야기.

12월 24일에 흥남에서 철수했고, 1월 4일에는 서울을 다시 내주었다.

이때 시민들은 한강다리가 폭파되어 다닐수 없었고 강물이 언 상태로 얼음위로 피난길을 떠나야 했다.

1월 7일에는 수원이 함락되었다.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8574


전열을 재정비한 국군과 연합군이 반격을 개시하며 한강을 중심으로 뺏고 뺏기고,밀고 밀리는 치열한 공방전을 벌이다가

3월 2일에 한국군이 한강을 넘어서 14일에는 서울을 되찾았다.










사진 http://blog.naver.com/smphillips?Redirect=Log&logNo=8002038211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272905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2729060


http://blog.naver.com/kimseogk?Redirect=Log&logNo=140088327599


전쟁의 가장 큰 피해자는 전투에 참가한 군인이지만 백성들도 엄청난 고통을 겪는다. 6.25 전쟁은 수백만 명이 피란길로 내몰렸고, 피란을 가지 않은 사람들도 집이 불타고 먹을 게 없어 생사를 넘나들 수 밖에 없었다.


6.25 전쟁 때 피란민이 가장 많이 몰려든 곳의 하나가 대전이다. 영호남으로 빠지는 교통의 요지라 북한과 서울· 경기도에서 난민이 쇄도했다. 51년 1월 6일자 대전일보에는 ‘피란민 각군(各郡) 할당 수용’이란 기사가 실렸다. 대전시내 수용소가 넘쳐 논산 2만, 공주 2만, 부여 1만명 등 충남도내 22개 수용소에 5만3000명을 분산 배치했다는 것이다. 난민이 날이 갈수록 늘어 15만명에 이르자 피란민에게 호남 방면으로 내려가라고 호소하게 된다.


피란민과 전재민(戰災民)에게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먹는 문제였다. 식량 거래가 끊겼고, 이렇다할 구호체계가 있을 리 만무했다. 대전역 주변에는 굶거나 얼어 죽는 피란민이 속출했다.


대전일보는 1950년 12월부터 피란민 돕기에 나선다. 31일자 ‘구하자! 불쌍한 우리 이재(罹災)동포’에서는 “피란 화차(貨車) 꼭대기에서 웅크린 할아버지와 어린아이, 수용소 가마니 위에서 제대로 입지도 못한 채 누워있는 할머니도 모두 단군의 피를 이어받은 동포”라며 “한 술의 밥도 나눠 먹고 한 칸의 방도 나눠 쓰자”고 호소했다.

6·25 당시 대전과 부산 등 대도시 외곽에 속속 들어선 난민촌(위) 전경과 1951년 3월 구호양곡을 타기 위해 기다리는 난민들 모습. 사진=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 제공


백미를 실은 우마차의 국도 통과와 대전시내 진입을 허가한 충남계엄 민사부장 명의의 고시문. 대전일보 1951년 2월12일자.

글. 그림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909842




http://blog.naver.com/hwoasuk?Redirect=Log&logNo=140072218996

'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아....Saving Lives Photo  (0) 2011.01.06
피난하는 사람들  (0) 2011.01.06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군인`  (0) 2010.03.07
거제도 포로 수용소  (0) 2010.02.18
17,000 Australians  (3) 2010.02.03
Posted by qlstnfp
2010. 3. 7. 02:05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군인'으로 평가받는 문인순(78·제주시)씨는 제주여중 2학년생이던 1950년 8월 "학도호국단 간부는 모두 해병대에 가라"는 체육교사의 명령에 따라 해병4기에 입대했다. 이후 40일간 총검술, 사격 등의 훈련을 마친 뒤 경남 진해로 내려가 해군본부에 배치됐다. 그는 당시 126명의 여성이 함께 징집됐다고 증언했다.



국방부는 '6·25 참전 소년·소녀지원병'을 "18세 미만의 병역의무가 없는 자로서 50년 6월 25일부터 53년 7월 27일까지 국군·국제연합군 또는 전투경찰대에 지원·입대해 6·25 전쟁에 참전하고 제대한 자"로 규정하고 최근 그 실체를 공식으로 인정했다.


박원호 국방부 예비역정책발전TF장(중령)은 5일 <오마이뉴스>와 한 전화통화에서 "각 군을 통해 확인한 결과 현재까지 파악된 소녀지원병은 23명"이라며 "육군이나 공군에는 없고 해군에서만 그런 사례가 발견됐다"고 말했다.



그는 "소녀지원병 23명은 정식으로 군번을 부여받은 사람들"이라며 "왜 해군에서 소녀지원병들을 동원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336351&CMPT_CD=A0271

'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난하는 사람들  (0) 2011.01.06
1.4후퇴  (0) 2011.01.03
거제도 포로 수용소  (0) 2010.02.18
17,000 Australians  (3) 2010.02.03
Canada in Korea  (0) 2009.12.22
Posted by qlstnfp
2010. 2. 18. 23:32













 


포로교환









http://space4peace.blogspot.kr/2012/10/largely-unknown-story-about-another.html



https://www.icrc.org/eng/resources/documents/photo-gallery/humanity-in-war-photos-230609.htm


















출처 : http://www.koreanwaronline.com/history/TruceTent/ch11.htm


https://www.google.co.kr/search?q=ICRC+korean+war&newwindow=1&rlz=1C1GGGE_koKR413KR413&es_sm=122&biw=1024&bih=707&source=lnms&tbm=isch&sa=X&ei=GquIVbSDGIaP8QWR2ICIAg&ved=0CAYQ_AUoAQ#newwindow=1&tbm=isch&q=+Kojedo+POW+camp




1952년 거제도는 거대한 이념의 소용돌이에 쌓여 있었다. 아직 한국전쟁이 다 끝나지 않은 52년
그곳엔 흥남철수때 북한의 피난민들과 북한의 전쟁포로들이 함께 뒤엉켜 있었다. 전쟁이 휴전선 근처에서
1진 1퇴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었구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는 북한으로 송환되길 원하는 공산포로와
북한으로 돌아가길 거부하는 반공포로들이 있었구 두 진영사이에 긴 반목이 시작되었다.


'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후퇴  (0) 2011.01.03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군인`  (0) 2010.03.07
17,000 Australians  (3) 2010.02.03
Canada in Korea  (0) 2009.12.22
한국전쟁의 전반적인 모습  (0) 2009.12.19
Posted by qlstnfp
2010. 2. 3. 19:19
Korean War 1950 - 53.

17,000 Australians served in Korea. 339 died and 1,215 wounded. The Korean War is often described as 'The Forgotten War'.

http://j.mp/hwZyma


Australian troops participated in two major battles in 1951. On the evening of 22 April, Chinese forces attacked the Kapyong valley and forced South Korean and New Zealand troops into retreat; other UN troops, including Australians, were ordered to halt the attack. After a night of fierce fighting, during which their positions were overrun, the Australians recaptured their postions and stalled the Chinese advance, at a cost of only 32 men killed and 53 wounded. For their contribution to this action, 3 RAR was awarded a US Presidential Citation.

The second major battle for the Australians was Operation Commando, an attack against a Chinese-held salient in a bend of the Imjin, a river running north-south that crosses the 38th parallel just above Seoul. Here the Commonwealth Division, including the Australians, had two key objectives: Hills 355 and 317. The attack began on 3 October, and after five days of heavy fighting the Chinese withdrew. Twenty Australians were killed in the battle and 89 were wounded.

From 1951 on, both sides found themselves engaged in a war of attrition reminiscent of the Western Front, where men lived in tunnels, redoubts and sandbagged forts behind barbed wire defences. The war was generally fought with artillery and mines and in set-piece battles; at night patrols ventured into no man's land to raid enemy positions. Between 1951 and the war's end, 3 RAR occupied trenches at the eastern extremity of the Commonwealth Division's position in hills north-east of the Imjin River. There they faced heavily fortified Chinese positions across a stretch of no man's land which ranged from 300 metres to 2 kilometres in width.

As the war settled into stalemate it became apparent that a negotiated truce was the only solution, but military pressure was maintained on the communist forces, the better to extract concessions at the peace talks. As fighting continued, however, many of the UN combatants grew less willing to contribute more ground forces to the conflict. While some countries were keen to extricate their troops from Korea, Australia increased its commitment, and the government sent a second battalion, 1 RAR, which joined the Commonwealth Division on 1 June 1952. The battalion remained in Korea for twelve months, leaving in March 1953 and replaced by 2 RAR in April.

The song on this video is timeless and honours the memory of those who have died in the service and defence of Australia in war.

Schools and students frequently ask to use this song in projects and commemorative ceremonies.

Radio stations throughout Australia have broadcast the song leading up to ANZAC Day and Remembrance Day. The song is also requested to be played at funerals (for veterans).

Concept, title, lyrics and copyright owner of the song: Peter Barnes

You can email the author (Peter Barnes) at peterbarnes@australianwarheroes.com

You can read about the song at the website
http://www.australianwarheroes.com

© Peter Barnes 2001 - 2009. All Rights Reserved. All content remains the property of the respective copyright holders.

Other songs by the author at
http://www.australian-songs.befoundon...

Australian diggers. remembrance song.

'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군인`  (0) 2010.03.07
거제도 포로 수용소  (0) 2010.02.18
Canada in Korea  (0) 2009.12.22
한국전쟁의 전반적인 모습  (0) 2009.12.19
한국전쟁의 최고조  (0) 2009.12.19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