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3. 20. 14:45
A tour of Siam (Thailand) and Korea in the 1930s. Footage from this film is available for licensing from www.globalimageworks.com

d_98jT7XmZw&hl=ja&fs=1











Posted by qlstnfp
2009. 3. 20. 14:43

'1930-45'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rean Repatriation  (0) 2009.05.06
Siam To Korea 1931  (0) 2009.03.20
일제강점기 장안의 인기를 독차지 했던 기생 장연홍  (0) 2009.03.14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0) 2009.03.03
대륙에 묻힌 대한민국임시정부  (0) 2009.02.25
Posted by qlstnfp
2009. 3. 14. 01:21




평양 최고의 화초기생.
유복했던 가문의 몰락으로 형편이 어려워지자, 평양 기생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녀가 있던 권번에서 그녀를 처음 선보일 때, 정말로 구름같이 많은 사람들이 장연홍을 보며 연심을 품었다고 한다. 꿈을 꾸듯 몽환적인 눈매와 지극한 표정에서 그 당시의 미인상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그녀의 인생이 화려한 것만은 아니었다. 같은 권번에 있었던 선배 기생에게 쓴 편지에선, 계속되는 정조의 위협과 기생 생활의 고단함이 눈물어린 문체로 드러나 있기도 했다.
그 당시 기생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도 결코 쉽게 몸을 내어주지 않았으며, 언젠가 진실한 자신의 님이 오기만을 그리는 낭만파가 많았다고들 한다. 기생의 인생과, 한 사람의 여인으로서의 인생의 갈림길은 모든 기생들이 지고 가야만 했던 과제였던 것이다.
결국 장연홍은 고민 끝에 홍콩 유학길에 오르게 된다.
'얼짱' 기생의 그런 선언은 '귀엽다', '어린 나이에 기특하다'라는 등의 평을 얻었긴 했지만, 안타깝게도 홍콩에 도착한 그녀의 소식은 고작 두 달 정도 전해질 뿐이다.

'1930-45'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am To Korea 1931  (0) 2009.03.20
1931年の京城(ソウル)の映像  (0) 2009.03.20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0) 2009.03.03
대륙에 묻힌 대한민국임시정부  (0) 2009.02.25
총독부가 찍은 조선 궁궐사진  (0) 2009.02.19
Posted by qlstnfp
2009. 3. 3. 23:46

일명 재형(在衡)·도헌(都憲). 러시아명은 뻬돌소오·최뻬찌카. 함경북도 경원(慶源)에서 출생하였다. 9세 때 부모를 따라 시베리아 노우키예프스크로 이주하여 귀화하였다. 러시아 군대의 어용상인(御用商人)으로 돈을 벌었고, 러시아 관리가 되어 두 차례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가서 황제를 알현(謁見)하고 5개의 훈장을 받았다. 노우키예프스크 도헌(都憲)이 되어 연봉 3,000루블을 받게 되자 은행에 예치하여 그 이자로 매년 교포학생 1명씩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유학시켜 인재양성에 진력하였다. 러일전쟁 후 이범윤(李範允)과 상의, 국민회를 조직하여 회장이 되고, 이범윤을 중심으로 의병을 모집하였다. 그리하여 1908년부터 이듬해까지 산발적으로 두만강을 건너 함북 일대의 일본수비대와 소규모 전투를 벌였다.


1910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발간되던 《대동공보(大東共報)》가 재정난으로 폐간되자 이를 맡아 재발행, 격렬한 논조로 일제를 규탄하고 독립을 절규하였다. 또한 노우키예프스크 한족민회(韓族民會) 회장에 취임, 교포자녀들을 위한 한인학교를 설립하였다. 국권피탈 후에는 사태를 관망하며 동지규합에 힘쓰다가 1919년 4월 상하이[上海] 임시정부 초대 재무총장에 임명되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그 해 11월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新韓村)에 본부를 둔 독립단을 조직하고 무장투쟁을 준비하였다. 1920년 4월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 때 재러한인의병을 총규합하여 시가전(市街戰)을 벌이던 중 붙잡혀 살해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출처] 최재형 [崔在亨 ] | 네이버 백과사전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