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 이전'에 해당되는 글 170건
- 2008.12.06 1863년 음력 1월 중국 방문 사절단
- 2008.12.05 1899년 국내 최초 전차 개통식 사진 발견
- 2008.12.05 1897년 덕수궁 돌담길
- 2008.12.05 1894 남대문로의 모습
1863년 음력 1월 중국 방문 사절단인 조선 연행사(燕行使) 일행이 청의 수도 베이징(北京)에 있는 러시아 공사관에서 러시아 사진가에게 의뢰해 자신들을 촬영한 사진으로, 한국인과 사진의 첫 만남을 보여 주는 사료다.
박주석(사진학) 명지대 교수는 최근 한국사진학회 학술지 ‘아우라(AURA)’에 발표한 논문 ‘사진과의 첫 만남-1863년 연행사 이의익 일행의 사진 발굴’을 통해 당시 사진들을 공개했다.
이들이 사진을 찍었다는 사실은 1999년 최인진 전 한국사진사연구소장이 쓴 ‘한국사진사’와 박태근 명지대 LG연암문고 연구원의 조사에 의해 처음 알려졌지만, 사진 실물은 2006년 1점만 공개됐을 뿐 나머지 5장을 포함해 6장 전체가 모두 공개되는 것은 처음이다.
조선 정부 관리였던 이의익 등 당시 연행사 일행의 행적을 기록한 ‘연행일기(燕行日記)’엔 1862년 연행사로 출발한 일행이 이듬해인 1863년 음력 1월 베이징에 있는 아라사관(俄羅斯館·러시아 공사관)에서 사진을 찍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동안 외국인이 찍은 최초의 한국인 사진으로는 1871년 신미양요 당시 영국인 사진가 펠릭스 비아토가 인천 강화도 광성보 전투 장면을 촬영한 사진과 같은 해 프랑스 사진가가 역관 오경석을 촬영한 사진 등으로 알려져 왔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1861∼64년 베이징에서 의료 선교활동을 했던 영국인 윌리엄 로크하트(1811∼1896)가 수집해 영국으로 가져간 것이다. 그는 1892년 이 사진들을 런던선교회에 기증했고 현재 런던대 동양 및 아프리카 연구학교(SOAS)가 위탁 보관 중이다.
'1900년 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00년경 (0) | 2008.12.11 |
---|---|
1890년대의 일 (0) | 2008.12.11 |
1899년 국내 최초 전차 개통식 사진 발견 (0) | 2008.12.05 |
1897년 덕수궁 돌담길 (0) | 2008.12.05 |
1894 남대문로의 모습 (0) | 2008.12.05 |
국내 최초의 전차 개통식을 찍은 사진이 발견됐다. 1899년 5월 4일 오후
3시 개통식을 구경하려고 구름 같은 관중이 동대문 성벽까지 올라가
있다.
동대문 앞의 지붕 건물은 전차 보관소. 당시 미국에서 발행되던 주간지
'콜리어스 위클리(Collier's Weekly)'에 화보 형식으로 실린 것을 근현대사
사료 수집가인 김영준(54)씨가 최근 캐나다에서 입수했다.
[김영준씨 제공]
전차 개통식을 구경하기 위해 동대문 성곽 아래쪽에 모인 백성들과
미국인들. 개통식장에 태극기와 성조기가 함께 걸려있다.
[김영준씨 사진제공]
전차 발전소가 세워졌던 건물. 발전소는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자결했던 민영환 소유의 부지에 세워졌다. [김영준씨 사진제공]
퍼온글 원본 : http://blog.joins.com/js3491/2401416
'1900년 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90년대의 일 (0) | 2008.12.11 |
---|---|
1863년 음력 1월 중국 방문 사절단 (0) | 2008.12.06 |
1897년 덕수궁 돌담길 (0) | 2008.12.05 |
1894 남대문로의 모습 (0) | 2008.12.05 |
Homer Bezaleel Hulbert 가 본 구한말 풍경 (0) | 2008.12.04 |
미국 주간지 하퍼스위클리 1897년 7월24일자에 수록된 덕수궁 돌담길. 미국 사진작가 윌리엄 헨리 잭슨(1843-1942)이 한국을 찾은 1896년에 촬영한 것으로 사진 밑에는 'The Russian Legation at Seoul'(러시아공사관)이란 설명문이 있다. 미국공사관(현 미국대사관저) 북쪽에서 러시아공사관 동쪽을 바라본 이 장면에는 덕수궁 돌담길이 보이고 그 작은 문도 발견된다. 아관파천 때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서 덕수궁을 오갈 때 이용했다고 전한다. << 명지대 이돈수 교수 제공 >> (서울=연합뉴스)
'1900년 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63년 음력 1월 중국 방문 사절단 (0) | 2008.12.06 |
---|---|
1899년 국내 최초 전차 개통식 사진 발견 (0) | 2008.12.05 |
1894 남대문로의 모습 (0) | 2008.12.05 |
Homer Bezaleel Hulbert 가 본 구한말 풍경 (0) | 2008.12.04 |
1894-1920 서울 남대문 (0) | 2008.11.24 |
(‘THE QUEEN OF KOREA’, 1894. 11, Frank G. Carpenter)에 ‘서울의 중심 가로’라는 제목으로 실린 남대문로의 모습.
촬영 시기가 갑오개혁이 있었던 1894년 이전으로 올라가며, 훼손되기 전 남대문로 상황을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
미쓰코시백화점(현 신세계백화점) 주변의 1930년 무렵.
당시로는 드문 항공사진이다. 일본의 식민통치 성과를 과시하던 상징적 공간인 삼각형의 ‘센긴마에(鮮銀前)광장’이 뚜렷이 보인다.
보신각 쪽에서 남산 쪽을 조망한 1905년 광교 주변.(
사진 중앙에 광교가 보인다.
사진은 지금의 중앙우체국 위치에서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산을 뒤로하고 백악(白岳)을 중심으로 자리한 경복궁이 광화문ㆍ근정전ㆍ경회루와 함께 왼쪽 상단에 선명하게 보이고, 비스듬하게 형성된 길은 오른쪽 상단에서 종로(鍾路)와 만나 더 이상 북쪽으로 나아갈 수 없는 상황을 잘 보여준다. 이 종로와 만나는 길이 종루(보신각)에서 남대문까지 이어지는 남대문로다.
길의 좌우에는 한옥 상가가 형성돼 있고, 그 앞쪽에 초가로 조성된 가가(假家-헐고 옮기기 쉽게 임시로 지은 집)가 추가로 조성돼 있음을 볼 수 있다. 길에는 수많은 사람이 물건을 흥정하고 있는데, 그들 대부분은 흰 두루마기에 갓을 썼으며 간혹 검은 옷의 당시 군인과 아이들의 모습도 보인다.
현재의 을지로 입구에서 광교 쪽을 조망한 경관.
그 풍을 알 수 없는 콜로니얼 양식의 건물군이 제법 고색창연하다. 도로 오른쪽의 붉은색 벽돌 건물이 눈에 익다.
멀리 광통교 너머 종로와 만나는 부근에는 제법 큰 규모의 상가와 함께 2층 건물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근대 문화의 이입과 함께 조금씩 변해가는 풍경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을지로가 형성됐을 지점인 지금의 롯데백화점 부근에도 변형된 2층 한옥 건물이 보이는데 정확한 건물의 용도 등은 규명이 쉽지 않다.
조선시대 도성인 한양의 간선도로 체계는 궁성 앞의 남북 가로와 서대문과 동대문을 연결하는 동서 방향의 종로, 종루(鍾樓)와 남대문을 연결하는 남대문로가 있는데, 전자가 ‘주작대로’로 불리듯 기념적 상징 가로인 반면 후자는 일상생활의 중심 가로로서의 성격을 띤다.
전체적인 형태는 ‘정(丁)’자 형으로 간선도로가 서로 어긋나게 만나며, 직선이 아닌 구부러진 비정형의 유기성을 기본으로 한다. 종로와 남대문로의 곡선 노선은 서로 마주보면 음양 이치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사회적 관념을 특징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롯데백화점 자리인 조선식산은행 본점 앞 풍경.
조선식산은행은 1918년 기존 농공은행을 흡수해 출발했는데, 1923년 기존 건물을 좌우로 증축했다는 기록으로 봐서 사진은 1923년 이후에 촬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남대문로와 종로가 만나는 1905년 무렵의 보신각 주변.(
보신각 옆으로 전차가 지나가고, 그 옆 좌판을 벌여놓고 갓을 파는 장수는 햇빛을 가리기 위해 멎진 파라솔까지 만들어 놓았다. 댕기머리를 땋은 소년들이 좌판 주변에 늘어서서 무언가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는 풍경이 정겹다.
조선 초 태종 13년(1413)에 완성된 시전 행랑은 종루에서 서북쪽으로 경복궁에 이르고, 동북쪽으로는 창덕궁과 종묘 앞 누문, 남쪽은 숭례문 전후에 이르러 좌우 행랑 규모가 1,360간으로, 남대문로의 시전 행랑은 이때 선형 체계의 상업 가로로 계획됐다. 남대문로는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에는 금융ㆍ판매 중심의 상업 가로였고, 현대에는 판매ㆍ업무 중심의 상업 가로로서 그 성격을 유지 변천해오고 있다.
개화기를 전후한 조선 후기 도로정책은 ‘육전조례’ 기록으로 알 수 있다. 당시 각별히 정한 기능은 임금의 거둥, 칙사의 행차, 인신(국장)과 관련된 사항으로 이러한 주요 행사를 치르는 것이 대로의 주된 기능이었다. 따라서 행사가 없을 때는 행랑 및 가가에서 이루어지는 상행위의 장이었다.
1882년 한성판윤이 된 박영효는 일본의 ‘치도규칙(治道規則)’에 따라 지저분한 도성 내 도로를 정비하고자 ‘치도약칙(治道略則)’을 발표한다. 그 내용은 주로 인력거와 마력거 및 사람의 통행에 관한 사항이었는데, 이와 함께 가가에 관한 규제도 있었다. 볏짚을 이용한 가가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쉽게 번질 우려가 있어 가가를 철거해 도로를 정비하고자 했다.
한성부윤 유정수 ‘가가금령(假家禁令)’ 발표
그러나 도로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과 함께 상가로서 가가가 일반 백성에게 매우 유용했기 때문에 백성의 반대로 박영효의 의지는 빛을 보지 못하고 오히려 그를 한성판윤 직에서 물러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만약 박영효의 정책이 시행됐다면 카펜터의 사진에 나타난 가가의 생생한 모습은 존재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 이후 1895년 4월16일 한성부윤 유정수의 명으로 ‘가가금령(假家禁令)’이 발표된다. 즉, 도로를 침범해 가옥을 건축하는 일을 일절 금하는 지시였다. 그 취지는 일차적으로 도로의 원래 폭을 회복하는 것이었지만 동시에 일본인의 남대문로 진출을 억제하려는 의도가 포함돼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중앙 7월호 참조)
퍼온글 원본 : http://blog.joins.com/lsddch/8167619
'1900년 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99년 국내 최초 전차 개통식 사진 발견 (0) | 2008.12.05 |
---|---|
1897년 덕수궁 돌담길 (0) | 2008.12.05 |
Homer Bezaleel Hulbert 가 본 구한말 풍경 (0) | 2008.12.04 |
1894-1920 서울 남대문 (0) | 2008.11.24 |
old korea (0) | 2008.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