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0. 24. 17:53

曲意而使人喜 不若直躬而使人忌

곡의이사인희 불약직궁이사인기

無善而致人譽 不若無惡而致人毁

무선이교인예 불약무악이치인훼





자신의 뜻을 굽혀 남을 기쁘게 해주는 것은

몸을 곧게 가져 남의 미움을 받는 것만 못하고,


착한 일을 하지 않고 남의 칭찬을 받는 것은

악한 일을 하지 않고 남의 비난을 받는 것만 못하다.

한(漢)나라 6대 황제인 경제(景帝:B.C 157-141)는 즉위하자 천하에 널리 어진 선비를 찾다가 산동(山東)에 사는 원고생(轅固生)이라는 시인을 등용하기로 했다.그는 당시 90세의 고령이었으나 직언을 잘하는 대쪽 같은 선비로도 유명했다. 그래서 사이비(似而非) 학자들은 원고생을 중상비방(中傷誹謗)하는 상소를 올려 그의 등용을 극력 반대하였으나 경제는 끝내 듣지 않았다.
당시 원고생과 함께 등용된 소장(少壯) 학자가 있었는데, 그 역시 산동 사람으로 이름을 공손홍(公孫弘)이라고 했다. 공손홍은 원고생을 늙은이라고 깔보고 무시했지만 원고생은 전혀 개의치 않고 공손홍에게 이렇게 말했다.

˝지금, 학문의 정도(正道)가 어지러워져서 속설(俗說)이 유행하고 있네. 이대로 내버려 두면 유서 깊은 학문의 전통은 결국 사설(私設)로 인해 그 본연의 모습을 잃고 말 것일세. 자네는 다행히 젊은 데다가 학문을 좋아하는 선비란 말을 들었네. 그러니 부디 올바른 학문을 열심히 닦아서 세상에 널리 전파해 주기 바라네. 결코 자신이 믿는 ´학설을 굽히어[曲學]´ 이 ´세상 속물들에게 아첨하는 일[阿世]´이 있어서는 안 되네.˝
원고생의 말이 끝나자 공손홍은 몸둘 바를 몰랐다. 절조를 굽히지 않는 고매한 인격과 학식이 높은 원고생과 같은 눈앞의 태산북두(泰山北斗)를 알아 보지 못한 자신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공손홍은 당장 지난날의 무례를 사과하고 원고생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固之徵也 薛人公孫弘亦徵 側目而視固 固曰 公孫子 務正學以言 無曲學以阿世.




'채근담 菜根譚'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용(蠻勇)을 부리지 말며  (0) 2009.11.01
참된 마음  (0) 2009.10.31
公平正論 不可犯手  (0) 2009.10.22
先無得罪於冥冥  (0) 2009.10.22
馭橫者,先馭此氣  (0) 2009.10.22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