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4. 25. 21:33

당신이 그렇게 울면
내 가슴이 너무 아파
되삼키지 못하는 멍울이
꾸역꾸역 올라와
명치를 눌러 숨을 막습니다.


이 사진에서 저 물방울이 보이시지요? 물방울이 물에 떨어지면 그뒤 반작용으로 다시 물방울이 튀어 오르는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다들 어릴때 한번쯤 물방울 관찰해 보셨지요? 아니면 tv나 사진으로라도 봤을 겁니다.

바로 저게 버블제트의 원리입니다.

물방울이 떨어져서 수면을 강타하면 수면은 그 충격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밀려나가고 물방울이 떨어진 자리는 움푹 패여집니다. 그러다가 다시 패인 공간을 평평하게 채우려는 성질로 인하여 동심원의 중심으로 모여듭니다. 이때 모여드는 힘이 360도 모든 방향에서 동일합니다. 풍선이 고무 두께가 일정하다고 하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속도와 거리로 팽창했다가 동일한 속도와 거리로 수축하는 것과 같습니다.

동일하게 중심으로 모여드는 힘이 그 중심에서 만나게 되면 어떻게 되겠습니다.

빠른 속도로 모여서 받게 되는 충격의 힘은위로 방출이 됩니다. 왜냐면 수면의 하부와 좌우 360도는 이미 물의 압력으로 다 채워져 있지만 수면 윗쪽에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한 공기이기때문에 위로 쏫구치는 것입니다. 물방울 사진을 보시면 됩니다.다시 말해서 모이는 에너지가 수렴 후에 그 충격은 가장 약한 부분으로 방출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버블제트는 다른 방향이 아닌 왜하필 수면방향으로 강한 물줄기를 방출하여 배를 파괴시키는 것인가?

버블제트라는 물이 순간 강하게 공처럼 퍼졌다가 오며드는 에너지가 특별한 조건이 없을때는수압이 낮은 수면방향으로 그 에너지를 방출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균등하기 때문에 물방울이 동그랗게 튀어 오느는것 처럼 원통 모양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원통모양이라 함은 물의 솓아 오르는 양이 많고 일정시간 지속되기 대문에 수도꼭지 고무 호수에서 물이 원통형으로 뿜어나오듯 내 뿜게 되는 것입니다.

특별한 조건이라 함은,

예를 들어 수심이 깊은 곳에서 벽면이 있고가까이 터트리게 된다면 버블제트는 수면방향이 아니라 벽면 방향으로 터지게 됩니다.

그게 바로 저 튀어오른 물방울이라는 것입니다.(이와 같은 원리는 원자폭탄과 같은 폭발에서 그 폭발력을 배가 시키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이해가 되시지요?

그렇다면 이 버블제트를 일으키는 어뢰가 가장 무서운 조건이 어떤 조건인 줄 아시겠습니까?

물방울 원리에서 생각해 보세요.

바로 너무 깊지 않은 수심에서 터질때가 가장 무서운 것입니다.

왜냐면 수심이 너무 깊어 버리면 윗쪽의 수압도 너무 높아서 위로 쏫구칠 에너지를 상쇄 시키기 때문입니다. 이해가 되시지요?

그래서 버블제트가 발생되는 어뢰를개나 소나 가지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배를 직접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배가 아닌 배의 바로 밑에 가서 알아서 터져 주는 인공지능 기능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어뢰는 배와 부딛히는 충격으로 폭발했다면 버블제트 어뢰는 배와 충격이 아니라 배와의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을 해서 움직인 후, 멈춰서 터지는것도 아니라,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그 상태에서 배밑에서 적정한 수심을 유지한채 정확하게 터트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직접 타격이 아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지나치거나 먼저 터져버리거나 너무 깊은 곳에서 터져 버리면어뢰의 효과는 직접타격 어뢰만 못하게 됩니다.따라서북한이 이런 기술을 가지고 있다면 정말 놀라운 것입니다. 왜냐하면 함포를 쏴서 배에 구멍 몇개 뚫어봤자 큰 전투함은 별 타격이 없지만, 버블제트 어뢰가 있다면 해전의 승패는 장담 할 수 없게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미국뿐만 아니라 가까이 중국 일본도 발칵 뒤집혀야 하는 중차대한 문제인 것입니다.

너무 가까운 것과 물기둥은 별 상관이 없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수면에 어느정도 가까운 것은 더욱 강한 버블제트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더군다나 함의 바로 밑이라고 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금상첨화라는 말입니다.!!! 왜냐구요?

앞서 말씀 드렸듯이 너무 깊은 곳에서 터져 버리면 오히려 물기둥이 덜 치고 올라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버블제트는 원통형으로 뚫린 절단면을 볼수 있습니다.

버블제트 공격받은 함수와 함미 측면 모습이 원통모양이 나와야함에도,최대한 보수적인 관점에서 양보를 해주어서 삼각형▲ 모양을 인정해 준다고 합시다. 그렇다면 정면의 모습에서도 분명히 절단면이▲모양이 나와야 하는 것입니다. 즉 원뿔형 모양이 나와야 한다는 말입니다.

절단되기 전 붙어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버블제트가치고 올라갔다면 좌우 모양이 대칭되지 않습니다.

또한 버블제트의 규모가 국지적으로 작은 형태라면 충격량과 면적도 작아야 한다..

국지적으로 작은 형태의 버블제트가배를 들어 올리는 힘을 가졌는데도 원통형으로 관통하지 못하고 원뿔형으로 수렴해버리고 끝이 난 이유?

또한 더군다나 폭발 위치는 정 중심이 아니라사선으로 되어 있는 배의 측면 아래라면 폭발되어지는 힘은 상당히 감쇄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사선으로 되어 있고,버블제트공격으로 당한 절단 형대가 원뿔형을 수직으로 반 잘라 놓은 형태이기 때문에 나머지 반의 버블제트는 측면을 따라 솟구쳐 올라 가야한다. 따라서물기둥을 보지 못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966543&pageIndex=8&searchKey=&searchValue=&sortKey=depth&limitDate=0&agree=F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417702.html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