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2. 29. 13:35

1960년대의 문희, 남정임, 윤정희 그리고 70년대의 정윤희, 유지인, 장미희처럼 이른바 여배우 트로이카는 30년대에도 있었으니 그들이 바로 김소영, 김신재 그리고 문예봉(왼쪽)이다.



김소영이 세련된 미모로 여성적 매력을 발산했다면, 김신재는 순수하고 가녀린 조선 소녀의 표상이었고, 문예봉은 동양적인 미모로 가련한 식민지 여성을 대변했다. 셋의 공통점을 들라면 본격적인 ‘영화’ 배우 즉 무대보다는 스크린을 통해 사랑받은 배우라는 점이다. 이 중 발성영화 시대 최고의 스타를 뽑으라면 단연 문예봉이다.




1917년 함경도 함흥에서 태어난 문예봉의 본명은 문정원이다. 12살에 어머니를 여읜 후 배우였던 아버지 문수일을 따라 극단에 들어갔고, 이듬해부터 아역으로 무대에 섰다고 한다. 문예봉이 처음 스크린에 출연한 것은 1932년 이규환의 데뷔작 <임자없는 나룻배>를 통해서였다. 나운규가 맡은 뱃사공 춘삼의 딸로 분하며 일약 ‘조선영화의 샛별’이 되었는데, 관객의 뇌리에 가여운 식민지 여성의 이미지를 구축한 것도 이 작품으로부터 시작됐다.



문예봉이 최고의 스타로 등극하게 된 계기는 조선의 첫 발성영화 <춘향전>(1935년)을 통해서다. 영화의 흥행 성공 덕분에 조선영화계 역시 토키 시대로 안착할 수 있었다. 이후 문예봉은 <아리랑>(1926년)을 잇는 걸작으로 평가받은 이규환의 <나그네>(1937년)에 출연하며 일제식 근대화에 유린당하는 조선 여성의 이미지를 이어나간다. ‘삼천만의 연인’으로 불렸던 문예봉은 서구의 마를린 디트리히, 일본의 이리에 다카코, 만주의 이향란에 비견되며 조선영화를 대표하는 배우로 우뚝 섰다.


현재 문예봉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은 모두 5편. <군용열차>(1938년), <조선해협>(1943년), <미몽>(1936년), <집없는 천사>(1941년).






해방이 되자 문예봉은 조선영화동맹 위원으로 활동하다 1948년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의 극작가인 남편 임선규를 따라 월북했고, 북한 최초의 극영화 <내고향>(1949년)을 시작으로 ‘인민 배우’로 살았다. 그녀는 일제하 조선 그리고 북한에서 프로파간다 아이콘이었지만, 동시에 스크린의 여신이기도 했다.


http://m.enha.kr/wiki/%EB%AC%B8%EC%98%88%EB%B4%89

http://extmovie.com/zbxe/hreview/288243






'1930-4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경성)  (0) 2010.12.29
일제 강점기 서울  (0) 2010.12.29
나혜석  (0) 2010.12.29
안창호(安昌浩)  (0) 2010.12.27
청풍군 이해승(1890~?·사진).  (0) 2010.12.26
Posted by qlstnf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