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6. 17. 17:13
학도병 환송장면
http://study21.org/vod/815/farewell.htm
대부분의 조선 청년들은 일제 시대 말기에 일본군에 입대하여야 했다.
미국이 조선을 독립시켜 주기 위해 일본군과 싸우는데.
그 미군을 공격하기 위해 학도병으로 떠나는 조선 청년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식민지 백성의 비애와 삶의 고달픔을 본다.
게다가 열차 타고 떠나는 장병들이나 환송하는 이들이나 한결같이 일장기를 흔들고 있으니
나라 빼앗긴 백성의 설움이 오죽이나 컸겠는가? 식민지 조선 청년들은 육사진학은커녕 군인이 될 수도 없었는데,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조선 국방은 조선인 병사들에게 맡기기 위해 1938년부터 조선인 입대 지원을 받았다.
군대에 갈 자격 요건이 안되었던 식민지 백성에게 마침내 군 입대의 길이 열렸으니,
1940년대 초에는 군인이 되는 것이 신분 상승처럼 여겨지는 분위기가 있었으리라.
수십 년간 군 입대가 허용되지 않던 조선 청년들에게 군 입대의 문호가 열린 것은
마치 신분 차별의 딱지가 떨어지는 것과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지금 우리가 보기에 조선 청년들의 일본군 입대는 비애이지만
1943년 학도병제가 처음 실시되었을 때 지원자들이 있었던 데에는 그런 분위기의 작용이 있었으리라.
그러나, 1945년 초에 징병이 실시되자 분위기가 확 바뀌어 징병 기피를 위한 몸부림이 있게 되었다
'1930-4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인 (0) | 2009.09.02 |
---|---|
1932 윤봉길 의사 (0) | 2009.08.14 |
1931 만주침공 (0) | 2009.06.15 |
1936년의 최승희 (0) | 2009.06.09 |
일제 강점기 (0) | 2009.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