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lstnfp
2007. 1. 16. 23:32

1900년 나바위 학생들

1900년 동대문 밖

1900 남대문
|
구식군대의 지휘관군복을 차려 입고 칼을 잡고 있는 구식군대의 지휘관. 도도한 자세에도 쇠잔해 몰락해가는 권위가 엿보이는 듯하다.
|
구식군대의 지휘부남한산성을 수비하던 구식군대의 지휘관과 그 막료들이다. 지휘관이 ‘남한수어제군사령(南漢守禦諸軍司令)’이라고 쓰인 군령기를 들고 있다.
| 관리와 순검관복을 입고 앉은 관리와 서양식 칼을 찬 순검이 기념사진을 찍었다. 전통과 근대가 묘한 대조를 이룬다.
|
| 관리의 하인놀란 표정으로 사진기를 바라보고 있는 아이는 복장으로 보아 관리의 하인이다.
|
|
장교와 병사서양식 군복 차림의 장교와 병사. 왼쪽 탁자에 깃 달린 장교모자가 놓여 있다.
|
이토 히로부미와 하세가와 요시미치태극기와 일본기를 배경으로 한 사진의 오른쪽은 한국 침략의 원흉인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다. 왼쪽은 조선군사령관을 역임하고 뒤에 조선총독이 되는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
|
종절의 종각에 스님과 신도가 한가롭게 앉아 있다 사진에 찍혔다. 동(銅)으로 만든 종은 대중을 모으거나 때를 알리는 데 사용됐다.
|
계룡산 갑사(甲寺) 불단사찰의 대웅전에 불상이 안치돼 있다. 여러 형태의 불상이 안치된 이곳은 계룡산에 있는 갑사로 삼국시대 이래 여러 차례 중건된 절이다.
|
절에서 열린 잔치절에서 환갑잔치라도 연 듯하다. 앞쪽에 행사의 주인공이 근엄한 모습으로 앉아 있고, 뒤쪽에 스님들이 앉았다. 나이 든 스님은 경건하게 합장을 한 반면 젊은 스님은 사진에 정신을 빼앗긴 듯 보인다.
|
서울 남산 국사당의 무신도(巫神圖)남산 국사당은 서울을 수호하는 신당으로 조선시대에는 이곳에서 국가의 공식행사인 기우제나 제사 등을 지냈다. 조선 말기에 그려진 무신도가 걸려 있다. 1925년 일제가 남산에 조선신궁을 건립하며 국사당을 인왕산으로 옮겼다.
|
장승과 솟대동네 어귀나 길가에는 장승과 솟대가 세워졌다. 마을을 지켜준다는 단순한 민간신앙뿐만 아니라 지역과 지역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이정표의 기능을 갖는 상징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