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949건
- 2019.08.23 언론의 틀짓기와 공정성
- 2019.08.16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 2019.08.08 동해
- 2019.07.28 감정적 수맹(感情的 數盲- emotional innumeracy)
“언론인은 현실을 보도할 뿐만 아니라 현실을 가공하여 특정 부분을 선택-강조하고, 틀짓고, 또한 누락시키면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를 둘러싼 보도경쟁은 '엄밀한 검증 과정’이란 점을 감안하더라도 지나치다.
그 과정은 후보자가 감당해야 할 몫이지만 .최소한 공정한 언론이라면 청문회를 왜 하는지 한번쯤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청문 대상이된 사람은 권력이 큰 만큼 무거운 책임감을 가져야 하기에 권력형 비리에 연루된 사람이나 개인적인 비리가 막중한 사람은 걸러내자는 장치이기에 엄정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더라도 무분별하게 곁가지를 부풀리기로 치닫거나, 지나친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는 건 신중해야 한다. 현재 기준으로 과거를 재단하는 것도 위험하다.
전체 맥락에서 일부 사실만 떼낸 뒤 현미경 해부를 하여 침소봉대하는 하는 것은 언론의 영역이 아니다.
과열된 경쟁 때문에 더 중요한 맥락을 놓치고 있는 건 아닐까? 특종 경쟁 때문에 과도하게 기사를 만들어내고 있는 건 아닌가? 생각해보라
'세상에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예박사, 가짜박사, 고졸대학총장? (0) | 2019.09.09 |
---|---|
광인 이론(狂人理論, Madman Theory) 또는 미치광이 전략(狂人戰略, Madman Strategy) (0) | 2019.08.23 |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0) | 2019.08.16 |
감정적 수맹(感情的 數盲- emotional innumeracy) (0) | 2019.07.28 |
책사(策士)와 모사(謀士) (0) | 2019.07.17 |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이론은 인간이 로봇이나 인간이 아닌 것들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관련된 로봇공학 이론으로 "인간은 인간과 어설프게 닮은 대상을 오히려 혐오한다"가 결론이다.
에른스트 옌치의 1906년 논문 Zur Psychologie des Umheimlichen 에서 소개된 'Das Unheimliche'라는 개념에서 출발하여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1919년 논문 ''Das Unheimliche''(de)에서 더욱 정교하게 발전되고
1970년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에 의해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로 소개되었다.
모리의 이론에 따르면, 로봇이 점점 더 사람의 모습과 흡사해질수록 인간이 로봇에 대해 느끼는 호감도가 증가하다가 어느 정도에 도달하게 되면 갑자기 강한 거부감으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로봇의 외모와 행동이 인간과 거의 구별이 불가능할 정도가 되면 호감도는 다시 증가하여 인간이 인간에 대해 느끼는 감정의 수준까지 접근하게 된다.
이때 '인간과 흡사한' 로봇과 '인간과 거의 똑같은' 로봇 사이에 존재하는 로봇의 모습과 행동에 의해 느껴지는 거부감이 존재하는 영역을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라고 한다. 이 이름은 '거의 인간에 가까운' 로봇이 실제로는 인간과는 달리 과도하게 이상한 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인간과 로봇 간의 상호작용에 필요한 감정을 이끌어내는 데 실패한다는 것이다.
외형만이 아니고, 인간과 비슷한 특성이나 현상(절단시 출혈, 동공 확장, 모발 성장, 물질대사, 관절의 움직임) 등을 보일 때 불쾌감을 느낀다. 실제로는 인간에만 해당되는 이론은 아니며, 다른 동물 등에도 적용되는 이론이다.
이러한 현상은 프린스턴 대학의 연구진들에 의해 수행된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원숭이같은 포유류 무리들을 보면 같은 종족이라도 돌연변이라서 털 색깔이 다르거나 하면 심한 왕따와 차별, 배척을 겪게 되고, 인간 사회에서도 이런 차별은 흔하게 볼 수 있다.
서양에서 안면이식수술을 받는 환자들의 사례를 보면 바로 이 불쾌한 골짜기 심리를 여실히 느낄 수 있다. 그나마 약자에 대한 배려가 잘 갖춰져있는 서구사회에서도, 물론 대놓고 차별하지는 않지만 화상으로 일그러진 얼굴을 보면 순간적으로 헉하며 흠칫하는 기색이 느껴지고, 그것만으로 상처를 받는다는 것이다. 특히 너무 솔직한 아이들이 문제. 아이가 울어버리면 부모도 당황하고 본인도 당황하고 심한 상처가 될 수 밖에 없다. 실제 인터뷰를 한 전직 소방관 남성은 화재 진압을 하다 심한 화상을 입어 얼굴이 일그러졌는데, 손자가 자신을 보면 울어서 만날 수가 없고 손자를 안아보는 게 소원이라고 했었는데, 안면이식 수술 후 완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일반인 수준으로 회복이 되자 비로소 손자를 안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불쾌한 골짜기 심리가 그대로 적용되는데, 차라리 아예 다른 동물이면 그러려니 하겠지만 '같은 인간'인데 얼굴이 이상하자 아이가 본능적으로 두려움을 느끼고 울어버렸으나, 수술을 통해 얼추 일반인들의 얼굴과 흡사하게 만들어주자 비로소 아이가 경계심을 허물고 품에 안길 수 있게 되었다.
타인과 교섭함에 친근해질수록 호감이 증가하다 나와 다른 이질적인 부분을 발견하는 순간 비호감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계속적인 교섭으로 동질의 부분을 더 발견하면 호감을 회복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B6%88%EC%BE%8C%ED%95%9C_%EA%B3%A8%EC%A7%9C%EA%B8%B0
불쾌한 골짜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pliee Q2(en),(ja),(en) 한역 필: can mimic such human functions as blinking, breathing and speaking, with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process speech and touch, and then respond in kind.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는 인간이 로봇이나 인간이 아닌 것들에 대해 느끼는
ko.wikipedia.org
https://namu.wiki/w/%EB%B6%88%EC%BE%8C%ED%95%9C%20%EA%B3%A8%EC%A7%9C%EA%B8%B0
불쾌한 골짜기 - 나무위키
웹에서는 당연히 로봇공학보다 3D 그래픽에서 자주 만나는 현상인데, 이런 현상의 이유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잘못된 인체 비례와 얼굴초보들은 흔히 미소녀 모델링이면 쉬우리라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 어설픈 모델링이 오히려 더 잘 드러난다. 과장이 커서 눈코입 머리카락이 뻗는 위치, 목 위치 등이 매우 중요해서다. 2D로 그리는 그림에서는 각 장마다 나름의 보완을 하여 그것을 커버할 수 있지만, 3D에서는 모핑 등을 사용하지 않는 한 그것이 어렵다. 사
namu.wiki
'세상에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인 이론(狂人理論, Madman Theory) 또는 미치광이 전략(狂人戰略, Madman Strategy) (0) | 2019.08.23 |
---|---|
언론의 틀짓기와 공정성 (0) | 2019.08.23 |
감정적 수맹(感情的 數盲- emotional innumeracy) (0) | 2019.07.28 |
책사(策士)와 모사(謀士) (0) | 2019.07.17 |
투키디데스 함정’(Tuchididdes Trap) (0) | 2019.06.18 |
일본은 1883년 7월1일부터 대장성에서 관보를 발간했다. 관보는 헌법·조약·법률·조례·고시의 공포에 대한 책임을 지기에 일본 기록보관소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공식 문서로 인정된다. ‘국가 홍보지’이자 ‘공문 공고지’이다.
일본 정부가 관보에 동해를 ‘조선해(Chosun Sea)’로 표기한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일본 관보에서 ‘조선해’를 표기한 관보는 1894∼1904년 모두 7회.
그 가운데 ‘일본 관보 5616호-1902년 3월28일. 외국영해수산조합법 공고’ ‘일본관보 5749호-1902년 9월1일. 외국영해수산조합법 의한 조선해 수산조합 설립’이 가장 주목된다"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90807.010010710270001
1894∼1904 日 관보 ‘조선해’
일본 정부가 관보에 동해를 ‘조선해(Chosun Sea)’로 표기한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이상태 한국영토학회 회장(동해연구회 이사)은 1894~1904년 20년에 걸쳐 발행된 일본의 관보를 살펴 동해를 ‘조선해
www.yeongnam.com
'1900년 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신문과 독립협회에 대해선 잘못 알려진 사실이 너무나 많다. (0) | 2017.11.05 |
---|---|
한국 최초 신문 전면 광고 (0) | 2016.07.29 |
김천택의 청구영언 (0) | 2016.07.25 |
120년전의 기구한 사연 (0) | 2016.07.13 |
역사채널e 최부와 표해록 (0) | 2015.11.03 |
우리가 실상을 잘못 인식하는 것은 무지해서라기 보다는 우리 안에 내재한 태도와 믿음에 따라 생겨나는 세계관 때문인 경우가 잦은 것을 ‘감정적 수맹(感情的 數盲- emotional innumeracy)’이라한다.
우리 안에 내재한 태도와 믿음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은
첫째는 미디어다.
가짜 뉴스만 치명적인 역할을 하는 건 아니다. 정보기술과 소셜미디어가 정보 인식을 어느 때보다 어렵게 만들고
미디어는 자신들의 주장만을 편향적으로 전해주고(필터 버블filter bubble)
마치 전체 `여론(Public Opinion)`인 것처럼 선전하지만 실은 편향된 `그들만의 끼리끼리 의견`일 가능성(반향실 효과·Echo chamber effect)이 높다.
자칭 언론들의 ‘필터 버블’과 ‘에코 챔버’ 이용은 개인들에 자칭 언론들이 선동하는 세계관을 선호하게하고 , 상충하는 정보는 피하는 식으로 뿌리 깊은 편견이 강화되어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우리의 선택권에 영향을 준다.
두 번째는 실생활 경험이다
‘필터 버블’과 ‘에코 챔버’ 가 내재되어 편향되었지도 모르는 가족과 친구, 동료들의 이야기 등을 통해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자신의 생각이 보편적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일이다.
'세상에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론의 틀짓기와 공정성 (0) | 2019.08.23 |
---|---|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0) | 2019.08.16 |
책사(策士)와 모사(謀士) (0) | 2019.07.17 |
투키디데스 함정’(Tuchididdes Trap) (0) | 2019.06.18 |
분노의 조절 (0) | 2019.06.17 |